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이 포착한 목성 극지 오로라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NASA)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차세대 우주
망원경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JWST)’이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의 모습을 생생히 포착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일(현지시간) JWST가 찍은 목성 사진 2장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목성 남 북극 대기 위에 형성된 오로라와 적도 주변의 ...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종합 10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등 13문제가 출제됐다. 관측에서는 성도에서 삭제 또는 추가된 별 표시 문제 등 5문제와
망원경
의 시야각과 초점거리 결정 등 2문제가 출제됐다. 자료분석에서는 외부은하의 중성자성 쌍성계 병합사건에서 방출된 중력파 관측지료로부터 계의 파라미터 계산 등 2문제가 제시됐다. 이 대회에서 한국 ... ...
단일분자 움직임 관측해 난치병 실마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구분할 수 있었다. 강민구 포스텍 물리학과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이 가장 먼 곳을 관측해 우주의 기원을 밝힌다면 이번 연구의 경우 현미경으로 단일분자라는 가장 작은 것을 관측해 생명의 기원을 밝힐 수 있다"고 말했다. 탐침증강 나노현미경을 이용해 금과 ... ...
美 적외선 우주
망원경
핵심시험장비 한국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관측기기 개발을 총괄하는 필 콘굿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원은 "극저온 상태에서 우주
망원경
의 초점을 유지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며 천문연의 진공챔버가 스피어엑스 발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 표면 일부 날아가는 대폭발 겪어
연합뉴스
l
2022.08.12
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망원경
으로 본격적인 과학 관측을 시작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WST)을 이용해 베텔게우스에서 분출한 물질을 적외선으로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제임스웹 과학자 "최고의 우주이미지 위해 30명이 6주간 매일 회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6
웹 우주
망원경
'이 포착한 '스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NASA 제공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동아일보 인터랙티브웹으로 보기 (https://original.donga.com/2022/jameswebb?ref=main) ... ...
'더 선명해진 수레바퀴'…제임스웹 포착 고리 은하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8.03
동그란 바퀴를 닮은 ‘수레바퀴 은하’의 모습.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일(현지시간)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JWST)이 촬영한 동 ... 1억 년 정도 된 초기 우주까지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2018년 허블우주
망원경
이 포착한 수레바퀴 은하 이미지. NASA ... ...
'모두를 위한 천문학' IAU 총회 11일까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2
시작으로 11일까지 개최된다. 3일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발표한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JWST)의 과학성과에 대한 초청 강연이 진행된다. 5일에는 블랙홀 주변을 영상화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EHT)의 셰퍼드 돌먼 국제연구단장이, 6일에는 2011년 노벨상을 수상한 브라이언 슈미트 교수의 대중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지금 보는 우주는 빙산 일각, 차세대
망원경
들 놀라운 성과 낼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직경 30m 초대형
망원경
프로젝트와, 12개 글로벌 파트너 기관이 참여하는 거대마젤란
망원경
기구(GMTO)에 주목한다고 덧붙였다. 게즈 교수는 “지금 우리가 보는 우주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술의 발전은 초대질량 블랙홀의 가능성을 확실성으로 바꾼 것처럼 더 많은 흥미로운 ... ...
내달 2일 우주
망원경
전문가와 소행성 충돌 연구자들 부산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행사도 함께 열린다. 8월 6~7일 국립부산과학관에서는 JWST 프로젝트에 참여한 손상모 우주
망원경
과학연구소(STScI) 박사와 황호성 서울대 교수, 이정은·전명원 경희대 교수 등이 '차세대 천문학'을 주제로 강연한다. 8월 9일에는 벡스코 야외전시장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한 천체 관측, 천문우주 체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