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연구대상이 되는 유전자를 대량 확보해야 한다. 대장균 속에 원하는 유전자를 넣어
둘
경우 언제든 대장균을 키우기만 하면 그 유전자는 물론 유전자로부터 정보를 받아 합성되는 단백질까지 얻을 수 있으니 연구용 재료를 확보한 셈이 된다. 원하는 유전자를 플라즈미드 DNA에 삽입하는 과정을 ... ...
'지구사랑탐사대'가 이어준 인연...생태 연구자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3
전문적인 연구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건 귀중한 경험이니까요. 무엇보다 관심사가 비슷한
둘
도 없는 평생 친구를 만날 수도 있고요!" [지구사랑탐사대 11기 대원을 모집합니다!] 생태전문가와 함께 우리 주변의 생물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 직접 탐사하며 모은 ... ...
고병원성 AI·돼지열병 난리통에 3년째 잠잠한 구제역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 백신으로 집단면역 형성…캠페인 진행·백신 공급처 다변화 구제역은 발굽이
둘
로 갈라진 우제류에 속하는 동물 사이에서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치사율이 5~55%로 높다. 구제역에 걸리면 입안에 물집이 생기고 끈적끈적한 침을 흘리게 된다. 젖소의 경우 우유 생산량이 급격히 ... ...
베일 벗은 '수천년 미라'의 비밀..."고대 이집트인, 장거리 무역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이집트를 정복하기 전 이집트를 통치한 마지막 시기였다. 각 도자기에는 '머리에
둘
것' '붕대, 방부처리할 것' 등 도자기 안에 담긴 물질을 활용하는 방법이 상형문자로 새겨져 있었다. 연구팀은 도자기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을 분석하고 도자기에 새겨진 레시피와 비교해 물질의 사용처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Koch)는 세균이 감염병의 원인이라 주장하면서 이를 증명할 수 있는 4원칙을 정립했다. 이
둘
의 업적에 의해 세포병리학과 세균학이 크게 발전했다. 의학이 한층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발견에 도움이 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 ...
공공기관 지정해제 과기원…해외석학 유치 길 열렸다
2023.01.30
.."발전기금 규모 큰 KAIST만 좋은 일" 지적도 다만 과기정통부가 인건비 지급에 제약을
둘
가능성이 커 지켜봐야 한다. 비슷한 사례로 한국예탁결제원은 올해 1월 공공기관에서 지정 해제됐지만 여전히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의 인건비 규제를 받고 있다. 과기원 관계자는 "공공기관 지정 해제가 ... ...
[잠깐과학] 가자미와 넙치는 무엇이 다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1.14
크고 이빨도 날카롭습니다. 넙치와 가자미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쏠려 있지 않습니다.
둘
다 새끼 물고기인 치어 때는 눈이 몸 양쪽에 하나씩 대칭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치어는 수면 근처에서 생활하죠. 이후 성장하면서 넙치는 왼쪽, 가자미는 오른쪽으로 점점 눈이 이동하며 바닥 생활을 ... ...
[주말N수학]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수학동아
l
2023.01.14
한편 우주와 지구는 서로 통신으로 연결돼야 한다. 특히 초광대역 레이저 통신이 이
둘
사이에서 일어날 때 신경을 안 쓸 수 없는 존재가 바로 ‘대기’다. 지구의 생명이 숨 쉬고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대기지만,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 통신에 대해서는 대기가 그리 호락호락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환원전극의 용액과 미생물 배양액의 조성을 같게 만드는 연구다. 기존 방식대로라면
둘
의 조성이 달라 전극에서 만들어진 C2를 분리한 뒤 배양액에 넣어주는 단계가 있어야 하므로 비용이 늘어난다. 연구자들은 환원전극 표면을 음이온교환막으로 감싸는 등 몇 가지 조치로 배양액 조성으로도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발병에 관여한다. 흥미롭게도 노치 활성화와 아밀로이드 베타 형성은
둘
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두 종류의 효소에 의한 노치 수용체 및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순차적인 절단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절단 과정의 인자를 규명하고 제어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줄기세포, 조직의 발달과 같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