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훈주의
도덕
도덕률
뉴스
"
도의
"(으)로 총 42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노벨 물리학상 받은 2차원 자성물질 비밀 실험으로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만든 삼황화린니켈(NiPS₃) 기반 단일 원자층 자성 물질. 1나노미터(㎚, 10억분의 1m)정
도의
두께다.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연구진은 얇은 시료의 자성을 관찰하기 위해 라만 분광법을 활용했다. 빛을 쪼아 빛 에너지의 일부가 물질의 진동에너지만큼 감소하는 라만현상을 측정해 분자 구조에 관한 ... ...
[실전, 반려동물]이구아나가 잘 먹지 않아요
2019.01.12
사육장이 필요합니다. 우선 적정 온도는 히터로 맞춰 주며, 낮에는 29.5~32도 밤에는 24~26.5
도의
온도가 적당합니다. 한쪽 구석에 추가적으로 히터나 조명을 설치해 37.5~43.5
도의
환경을 만들어 주면 좋습니다. 사육장 내에서 온도가 다른 곳이 있어야 이구아나가 몸 상태에 따라 이동하며 건강을 유지할 ... ...
진주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자국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발견된 약 8300만 년 전 화석과, 2017년 발견돼 올해 3월 발표된 한국의 전남 신안군 사옥
도의
약 8400만~7900만 년 전 발자국 화석 두 가지가 전부였다. 이번에 발자국을 발견한 화석 표본. - 사진 제공 진주교대 김 교수팀은 발자국 화석 산지로 최근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진주혁신도시에 개구리 ... ...
우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까
2018.12.21
활동에도 관심을 갖고 있음을 맥클레인의 트위터를 통해 말하고 있습니다. ISS의 영하 80
도의
실험실 냉동고가 북극보다 차갑다며 호기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도 지구 밖 우주의 크리스마스는 외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ISS의 냉동고인 MELFI 옆에 있는 엘프. 앤 맥클레인 참고 http://libcom.org ... ...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2018.12.19
편의 논문을 실으며 단번에 주목받았다. 그래핀에 약간의 전기장을 걸고 절대 0도보다 1.7
도의
높은 온도에 두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가 된다는 연구와 이 연구에서 그래핀 두 장의 각도를 1.1도 빗겨 겹치기만 하면 저항 없이 전기가 통하는 ‘초전도체’의 특성을 띤다는 내용이었다. ... ...
“2018년 지구관측 역사상 4번째로 더운 해”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고위도에 위치한 국가인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올 7~8월 사이 25도 이상의 온
도의
날이 25일간 지속됐다. 한국도 지난 8월 1일 홍천이 41.6도, 서울 39.6
도의
최고 온도를 기록하는 등 폭염이 지속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피해는 가시화되는데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 ...
시험비행 나선 첫 국산 우주로켓 엔진 성능은?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연료와 산화제를 고압으로 연소기에 공급한다. 한국형발사체의 터보펌프는 초당 영하 183
도의
산화제 170㎏과 액체연료 70㎏을 연소기로 공급한다. 터빈의 회전속도는 각각 1만500rpm(1분간 회전 수)과 2만7000rpm에 달한다. 액체연료와 산화제의 대부분은 연소기로 보내진다. 일부는 가스발생기로 보내져 ... ...
곰팡이로 오해받는 김치 표면막 정체는 '독성 없는 효모'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잠기게 하거나 산소와 접촉면이 생기지 않도록 비닐로 감싸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약 4
도의
저온이 유지되도록 냉장고를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책임연구원은 “혹시 모를 위험을 피하려면 골마지가 생긴 김치는 그 부분을 걷어낸 다음, 볶거나 끓여먹는 방식으로 김치를 조리해 먹는 것이 ... ...
中, 핵융합 잰걸음…상용화 관건 ‘플라스마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안정적인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밝혔다. 다만 1억
도의
플라스마를 몇 초간 유지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핵융합에너지는 무한에 가까운 태양에너지의 근원인 핵융합 반응을 인공적으로 일으켜 이때 나오는 열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핵융합로가 ... ...
시야 넓고 몰입감 높은 AR 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눈동자 크기보다 크므로 월등히 큰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시야각은 90
도의
정도로, 기존 증강현실 안경에 비하면 10배 이상의 넓은 시야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몰입감을 훨씬 키울 수 있다. 이 교수는 “세계 최초로 메타물질 표면 구조를 이용한 나노 소자를 이용해 통해 증강현실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