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사
뉴스
"
과학사
"(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칼럼] 한글과 노벨상
2013.10.09
시차없이 읽을 수 있게 됐다. 1970~1980년대 학교를 다녔던 사람들은 기억하겠지만 전파
과학사
에서 번역돼 나왔던 현대과학신서나 블루백스 시리즈도 일본 고단샤에서 나온 문고본 과학책들이다. 우리나라를 보면 번역문화는 척박하고, 어려운 용어를 '국산화'하는 노력은 찾기 어렵다. 몰입 ... ...
보잘 것 없는 장난감이 어떻게 역사를?
동아사이언스
l
2013.09.22
792년 파리에서 설립된 기술 학회에는 과학자와 기계공들의 이름이 나란히 올라있었단다.
과학사
가인 조지프 니덤은 유럽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앞설 수 있었던 것은 이렇듯 ‘신사’와 ‘기능공’이 교류하는 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이 결정적이었다고 단언할 정도였다. ... ...
인류 문명 알고보니 곤충이 이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보여준다. 이들의 실수 때문에 과학이 발전할 수 있었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다.
과학사
와 시사과학 분야에 탁월한 글을 쓰는 프랑스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과학의 현실과 역에 등 다양한 분야에 칼럼을 쓰고 있다. 예스24 제공 ◆위대한 수학문제들:골드바흐 추측에서 질량간극 가설까지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고인류학자 테우쿠 자콥의 사망을 알리는 단신이 실렸다. 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과학사
에서 그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연구를 집요하게 방해한 인물로 남지 않을까. - 사이언스 제공 모우드 교수의 때 이른 죽음을 안타까워하면서 앞에서 언급한 테우쿠 자콥 교수의 죽음과 비교하게 된다.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6월 6일자에 논문출간 100주년을 맞아 ‘양자 원자’라는 제목으로 특집을 꾸몄고 여기에
과학사
가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존 헤일브론의 글이 포함됐다. 또 학술지 ‘사이언스’ 온라인판 6월 20일자에도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화학자 데이비드 클러리 교수의 글이 실렸다. 이들 글과 보어의 191 ... ...
과학사
를 알면 '科技강국' 가까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9
이룰 수 있었는지도 설명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이 있다.
과학사
를 아는 민족에게 과학기술강국의 미래가 보인다고 한다면 과언일까 ... ...
"과학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도움이 안 됐다굽쇼?"
동아사이언스
l
2013.05.19
것처럼 현대 과학에 긍정적인 면만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과학철학이나
과학사
,
과학사
회학, 과학정책학, 과학문화학 등 과학을 해석하는 다양한 학문처럼 경제학적 요인들이 어떻게 과학을 이끌어나가는지를 냉철하게 분석하고 있다. 미국 사례가 중심이기 때문에 공공 연구기관 특히 대학의 ... ...
태양보다 100경 배 밝은 빛으로 1000조분의 1초 분자 움직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파헤쳐져 있는 1km 정도의 땅에는 일렬로 박혀 있는 철심이 드문드문 보였다. 대한민국
과학사
에 한 획을 그을 것으로 평가받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현장이다. 고인수 포항가속기연구소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추진단장(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은 “길이 1100m, 높이 3m의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 ...
“천재가 별건가… 치열하게 생각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상 한 가지 문제만 고민한 결과 다이아몬드의 생성메커니즘을 세계최초로 규명하는 등
과학사
의 난제를 해결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부터 몰입은 제 연구 활동의 기본이었던 거죠.” 저자에 따르면 몰입이란 완전한 집중상태다. 마치 사막을 걷다가 사자를 만난 그 순간, 살아남아야겠다는 의지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발표했다. 논문 제목은 ‘프리츠 하젠욀과 E=mc²’. 바운 교수는 천체물리학자이면서
과학사
에도 관심이 많은 것 같은데 이 논문에서 그는 하젠욀이 어떻게 아이디어를 전개시켰고 어떻게 틀렸기에 3/8이란 상수가 붙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질량과 에너지의 관계에 대해 처음 생각한 이는 ... ...
이전
23
24
25
26
27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