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이스
심취
자전거경주
자전거
달리기
달음질
달음박질
뉴스
"
경주
"(으)로 총 519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확대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 “양산단층 북쪽 끝단을 찾아라”
경주
지진 이후 발생한 여진을 종합한 그래픽. 양산단층보다 바로 옆 ‘무명단층’에서 주로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활성단층으로 파악되고 있는 양산단층의 가지 단층이 ... ...
엄재식 원안위원장 “안심하는 한 해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뒤 가운데) 12일
경주
시 양북면에 위치한 월성방사능방재센터에서 열린 월성원자력안전협의회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엄재식 위원장이 12일 월성원전 지역을 찾아 지역주민의 의견을 청취하고, ... ...
포항 앞바다 이례적 규모 4.1 지진 “예상 못한 지역서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점에서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
경주
지진과 포항지진에 의한 응력이 감소됐을 것으로 예상했던 곳에서 지진이 났다”며 “규모가 작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응력이 감소되지 않았다면 더 큰 지진이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포항 ... ...
신고리 4호기 허가로 숨통 튼 원전 수출...탈원전 논란은 ‘가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99.6%에 달하고 2017년 사실상 완공된 뒤에도 1년이 넘게 운영허가가 나지 않았다.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으로 인해 안전성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국감 때 원자력안전위원장을 비롯한 일부 위원들의 결격사유로 인한 사퇴와 맞물리며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 ...
文정부 첫 신규원전 운영 허가…신고리 4호기 운영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의견도 나왔다. 일례로 한수원은 앞서 제출한 확률론적 지진재해도분석(PSHA) 결과에
경주
·포항지진 평가 결과를 최근 반영했다. 또 최종안전성분석보고서(FSAR)의 화재위험도분석에 대한 기술기준 변경에 따른 새로운 분석 결과는 이번 회의가 열리기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제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 ...
"블랙홀 미스터리 풀 열쇠"…韓, 중력파검출기 '소그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중력파는빛의 속도(초속 2억9979만 ㎞)로 전파돼 사실상 즉시 감지할 수 있다”며 “경북
경주
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면 부산을 기준으로 최소 10초 이상의 대피시간을 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빈 주헬 프랑스 소르본대 교수팀은 리히터 규모 7.3 이상의 지진을 기준으로 주파수가 0.1㎐인 ... ...
원안위-기상청, 지진·방사능 사고 공동 대응체계 마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제공 지진, 방사능 사고 등 대규모 재난·재해 대응을 위해 정부 부처간 협력이 강화된다.
경주
지진과 포항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인근 원자력발전소 등 주요 기반 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진 데 따른 조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기상청은 30일 ‘지진‧기상 및 원자력 안전 ... ...
[Science토크]'저장시설 포화까지 2년' 답 못찾는 사용후핵연료 처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키워드에 관심의 추가 기울어진 사이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에 대한 관심은 식었다.
경주
월성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은 2021년 포화 상태가 된다. 앞으로 2년 뒤 중수로인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를 임시로 저장할 시설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엄재식 ... ...
엄재식 원안위원장 “신고리4호기 운영허가 내달중 심의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있다는 지적이 줄곧 제기돼왔다. 이에 대해 엄 위원장은 “2016년과 2017년 잇따라 발생한
경주
지진과 포항지진으로 지진 안전성 관련 검토가 불가피해져 신고리 4호기 심의가 늦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전문위원회 검토 내용과 현장 답사 등 현재 원안위 위원들이 운영허가를 심의할 준비를 ... ...
또 냉각재 문제? 월성 3호기 자동정지…원안위, 원인조사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경북
경주
월성 원전 3호기. - 연합뉴스 가동 중이던 월성 원전 3호기가 원자로냉각재펌프 정지로 21일 오전 자동 정지됐다. 지난해 6월 냉각재 누출사고가 일어난 지 7개월 만이다. 다만 이번에는 방사능 누출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상세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