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100"(으)로 총 4,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KVN 연세대학교를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40831
- 광학만원경의 구경이 큰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전파망원경 1대로 보면 작은 광학망원경 보다 못하지만 여러게를 이으면 약100배가 치이나는 특성을 이용해 앞으로도 많은 블랙홀과 별들을 연구하는 KVN의 미래가 궁금해 집니다. KVN관측실을 나오기전,각자 한명씩 선물을 받았습니다. 비로 이 전파망원경 모형이었습니다.비록 시간이 없어 만들지는 못했 ...
- -부산 벡스코기사 l20240831
- 입력된 의사결정을 하는 컴퓨터가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무겁고 많은 일을 하는 장비의 목표는 일주일간의 임무 수행이며 100m 정도의 거리를 이동하여 얻은 정보를 보내는 것입니다. 이 말을 들었을 때 너무 적게 가는 것 아닌가 생각했지만 퍼시비언스, 큐리어시티 같은 이전의 탐사 로봇과 비교하면 빠른 편이라고 합니다. 기존 로봇은 10c ...
- 세계 최고의 기술, 전파망원경 KVN기사 l20240830
- 천문대를 가던 길 부터 보일 정도로 크기가 매우 컸고, 크기에 비해 빠르게 움직이는 망원경의 모습이 정말 놀라웠습니다. (동영상이 100MB 이하인데도 불구하고 업로드가 되지 않네요 ;;) 그 후 강의를 시작하고 한 연구원님이 나와서 KVN에 대해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매우 죄송하게도, 조금 늦은 탓에 연구원님의 성함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ㅠ ...
-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곳에 가보다! (KVN 연세 전파망원경 견학)기사 l20240829
- 망원경은 구경이 크면 더 잘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구경이 21m나 되는 연세 전파망원경 보다 구경이 10cm밖에 안 되는 천체망원경이 100배나 잘 본다고 합니다. 하지만 KVN는 VLBI, 즉 초장기선 간섭계로 한반도 만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만들기 때문에 차이가 납니다. 우주는 넓고 광활합니다. 우주는 아직 탐구해야 할 게 많습니다. 저는 ...
- NASA의 대한 모든 것 -2탄기사 l20240828
- 입장에서는 부담이었습니다. 로켓을 10번을 쏘면 21조 1,200억이 들고 100번을 쏘면 211조 2000억원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약 1,100조 원인 미국 행정부 예산의 20%가 로켓 발사에 쓰이니 부담이 되었습니다. 1980년은 소련과 냉전중이라서 군비가 많이 필요한데다 우주 경쟁까지 벌이고 있었으니까요. 그래서 당시 ...
- 에코롱롱에서 배우는 신재생 에너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기사 l20240825
- 코너 입니다. 에너지 뉴스룸이 있어서 다른 나라들의 친환경 뉴스를 알아볼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제가 가장 높은 점수를 준 곳은 100% 풍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열차를 가진 네델란드입니다. 마지막으로 나만의 미래 에너지 도시를 만드는 코너였습니다. 메뉴얼을 따라 하나씩 디자인을 하면 제가 만든 디자인한 도시가 보였는데 신기했습니다. 모든 체험을 ...
- 에코롱롱큐브에 다녀왔습니다!(우주기자단 미션)기사 l20240824
- 도시 구역은 자신이 직접 게임으로 친환경 도시를 만들어가며 점수를 쌓는 구역이었습니다.친환경 도시를 생각하고 만들었지만 100점이 나오기는 어려웠습니다. 그 다음은 코오롱 건물의 숨어있는 과학 원리를 알아보았는대요.코오롱 건물의 외벽은 green building,net zero space,water saving 등으로 난방과 냉방,공기순환,그리 ...
- 우리나라, 세계의 무긍무진한 발전을 키워줄 곳! 헌화에어로스피이스 본사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40820
- 위에서도 말했듯이 더욱더 기술력 좋고 효율성 있는 우주산업이 될 수 있닥 합니다. 다음의 한화의 목표는 2031년까지 초소형 위성 100기 산업체 주도로 개발을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공공 임무는 초소형위성 감시체계, 우주에서도 통하는 6G위성통신 시범망, 우주전파로 환경간측과 우주전파재난, 미래의 선도기술이 되어줄 초소 ...
- 앗싸포스팅 l20240819
- 시험 다 봐서 7시까지 쉴수 있다구요 ㅎ 근데 시험 재시라 100점 맞아야 통관데.. ㅎ 재재시 드가야죠..?^^ ㅎㅎㅎㅎ ...
- 제주항공우주박물관(JAM)에 가다!기사 l20240819
- 따라 항공기 이름을 부활호 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두 번째, KT-1 웅비 입니다. 1988년 부터 10년간 개발 끝에 만들어진 KR-1 웅비는 100% 컴퓨터 설계를 적용시킴과 동시에 동급 비행기에 비해 최고의 성능을 가졌다고 합니다. 세 번째로 T-50 골든 이글 입니다. 항공우주산업(KAI)가 록허트 마신사와 협력하여 만은 초음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