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분류"(으)로 총 4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각이 언어를 좌우하고 언어가 생각을 좌우한다?기사 l20201211
- 예를 들어, 영어와 한국어에서는 초록과 파랑을 분류하여 부른다. 그러나 멕시코 인디언 Tarahumara 화자는 초록과 파랑을 따로 분류하지 않는다. 그후 Tarahumara 화자에게 영어의 표현을 제시한 후 그 두 색의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언어는 사고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어 ...
- 정말 정말 신기한 동물들 5마리기사 l20201206
- 3분의 1이나 잃어 버린다고 한다. 4.키모토아 엑시구아 이 조그만 녀석은 다리가 많고 몸에 마디가 많아 등변류에 한 종류으로 분류된다.공벌레와 비슷하게 생겨 귀엽게 생길지도 모르지만......키모토아 엑시구아는 기생하고 있는 물고기의 혀로 변한다!!!! ...
- 따.분.행 분리수거 쓰레기통 인증~~!!포스팅 l20201128
- 파일에 고이고이 모셔놨답니당~! 평소에는 쓰레기통이 꽤 비싸서 3주 마다 한번씩만 했는뎅 (((퍼버벅 히에엑 이 분리수거 통 덕분에 분류도 수월해지고 환경도 지키고! 완전 일석이조!! 따분행 켐페인 덕분에 2년 전만에도 내던지던 우유갑을 (솔직) 뚜껑 따로 우유갑 따로 분리배출하고 있어요~~ 너무 기부니가 좋아여!! 그런데 이 재활용 물품들, ...
- 지구사랑탐사대 자주묻는 질문 (리더팀 피셜)탐사기록 l20201121
- 미국쑥부쟁이 등), 양서류: 개구리 (도롱뇽 제외! 도롱뇽은 !꼭! 도롱뇽에 올려주세요!), 식물개화: 식물의 꽃 (위 탐사종들은 명확한 분류가 아닌 총칭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탐사종만 서술함, 2021년 9기에는 없는 탐사종이 있을 수 있음) 7. 며칠전부터 저희집에 이 새가 자꾸 다니는데 이름이 뭔가요/이 새 이름이 뭐죠? 사례: htt ...
- 세계에서 가장큰 곤충 7가지!!!!기사 l20201120
- 크기는178mm 사육개체는 최대 사이즈가 180mm이나 됩니다. 4.골리앗 꽃무지 [출처:thewKi.Kr] 골리앗 꽃무지속은 꽃무지아과의 하위분류입니다. 가장 큰 곤충 하나로,유충 몸무게가 80~100g 까지 나가고 수컷(♂) 성충은 60~110mm에 달아 꽃무지 중에 가장 큽니다. 그리고 골리앗이라는 이름은 성경에 등장하는 거 ...
- 페트병 분리 배출~ 따.분.행. 한 달의 기록!기사 l20201115
- 분리 수거함을 공개합니다! 우리 집 분리 수거함을 공개합니다! 종이/투명페트병/플라스틱/캔*고철 유리/일반쓰레기/비닐류! 이렇게 분류해 배출하고 있는데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페트병과 플라스틱을 한군데 모아 버렸지만 요즘엔 2개로 나누어 페트병 분리 배출을 완벽히 해내고 있습니다!^^ 정말 많이 배출하게 되는 비닐류는 저렇게 실내 ...
- Mystery Lost 3화포스팅 l20201029
- 환희가 미나 좋아합니다!!) 존스-그런데... 재료는 어떻게 구할거야? 나-여기 바위가 철 성분이 포함되어있는거 같은데... 어떻게 분류하지? 리나-나는 가져온게 하나 있는데..바로 만능 휴대 3D프린터! 직접 개발한거라구!!! 모두-와~! 리나 최고오!! 빨리 만들자! ㅎㅎ 일이 잘 풀리는걸... (한편 현실세계 특별아카 ...
- 빵의 역사와 사연기사 l20201001
- 빵이 매우 귀해서 축제 때만 먹었고, 중세 유럽에선 빵이 여러 식품들과 함께 주식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빵은 지배충을 분류해준 일도 있었는데, 옛날엔 부자들이 흰 빵을 먹었고, 가난한 서민들이 전체 곡물을 넣은 검은 빵을 먹었다고 한다. 빵의 사연 세상엔 여러 가지 빵들이 있는데, 그중 몇 가지는 사연과 함께 탄생했다고 한다. 프레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우리 몸 탐험 지도' 후기!기사 l20200912
- 같은 느낌이 들죠? 이 보라색 줄의 이름은 ‘소포체’입니다. 리보솜이 붙어있는 거친 면 소포체와 그렇지 않은 매끈 면 소포체로 분류하죠. 이 소포체의 특징을 살려 미로를 만들어도 재밌을 것 같은데요? 이 밖에도 중심립,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골지장치 등 세포기관이 많이 남아있는데요. 오늘은 여기까지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
- 쓰레기도 자원이라고? 자원 순환의 날!기사 l20200910
- 일단 우리가 분리수거를 잘 하지 않고 모든 쓰레기를 섞어 버리면 재활용 하는 업체가 재활용을 해서 얻는 이익보다 이것을 재분류하는데 드는 돈이 더 많기 때문에 가져가지 않는다고 해요. 그러면 그렇게 버려진 쓰레기는 땅에 묻히거나 소각장에서 태워지고 말아요. 땅에 묻힌 쓰레기는 썩어 없어지는데 매우 오래 걸리고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어요. 쓰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