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겨"(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몬스터 패밀리 느낀점포스팅                                        l20171212
 
                            - 파티를 준비하는데..... 엠마가 할로윈 파티때 분장할 옷을 준비하기 위하여 드라큘라 이빨을 구하다가 그만 드라큘라...!!와 여....연...겨....결.. 이됐는데... 허걱!! 에이 설마 진짜 드라큘라겠어... 휴..,.   드라큘라는 자신과 이야기해준 엠마를 자기 아내로 삼기로하구 온 가족을 모두 몬스터로 만들어 버리는데....... 몬 ...
                            
 
                        
                        
                                            
                                                        - 네이버웹툰포스팅                                        l20170802
 
                            - 제가 네이버에 도전만화로 웹툰을 냈는데 봐주시고 별로 판단해주세요. 검색창에 kids아니면ccl2f2로 치시면 됩니다.(댓글도...ㅎㅎ) 그러시면 추천+포폴갑니닷~~~~((댓글+댓글까지 해주시면 +댓글까지~)) 이 글에 댓남겨주시고 가세요!! ...
                            
 
                        
                        
                                            
                                                        - 전학포스팅                                        l20170301
 
                            - 전학왔는데 친구 잘사귀는 방법좀여! 원래는 학년 올라갈수록 아는 친구 많아지는데 저는 친구가 별로 없어요.. 친구를 잘사긔는 편이긴 한데 어떻게 하면 친구 잘사겨요..? ...
                            
 
                        
                        
                                            
                                                        - 살인토끼님...포스팅                                        l20170217
 
                            - 본명 쓰세요. 게임속의 숨겨진재미 이스터에그라는 기사에 있음. 댓글보세요 ...
                            
 
                        
                        
                                            
                                                        - 알고 보면 신기한 우리말의 뒷이야기기사                                        l20170119
 
                            -  '키'에다 곡식을 올려놓고 위아래로 흔드는 행동을 '까불다' 혹은 '까부르다'라고 합니다. 까부는 행동은 곡식에 섞여 있는 겨나 티 등 이물질을 날려 보내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그때 까부는 행동이 경망스럽고, 까부를 때 이물질들이 쉽게 날아가서 '경망스럽고 조금 아는 것 가지고 떠벌리는 것'을 '까불다'라고 합니다.   제가 가장 재미있었던 ...
                            
 
                        
                        
                                            
                                                        - 수달연구센터포스팅                                        l20161201
 
                            - 잘 기억이 않났다. 그런데 오늘 수달을 보니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게 났다. 밖에서 오들오들 떨었지만 수달을 볼때면 추운것이 안느겨졌다. 나는 수달에 대해서 잘 몰랐지만 연구센터 아저씨께서 재미있게 수달에 대해 알려주셔서 집에 오면서 수달 박사가 된기분이었다. 그런데 언니가 무서웠다. 왜냐하면, 언니가 옆에서 몸길이는 몇미리 또 아저씨께서 말한는 ...
                            
 
                        
                        
                                            
                                                        -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맞춤법에 대해 알아볼까요?기사                                        l20161104
 
                            -  바로 겨땀(!)이 아닌 곁땀이에요. 곁땀은 겨드랑이애서 나는 땀이라는 뜻이에요. 많은 사람들이 곁땀의 맞춤법을 혼동하여 겨땀이라고 써요. 2. 되갚음/대갚음 많이 헷갈리시죠? 옳은 답은 대갚음이에요. 대갚음은 남에게 입은 은혜 혹은 남에게 당한 원한을 잊지 않고 그대로 갚는다는 뜻이에요. 되갚음 역시 발음/표기의 혼동 ...
                            
 
                        
                        
                                            
                                                        - 서울 성북구 라이노비틀즈20160910모대가리귀뚜라미탐사기록                                        l20160911
 
                            - 국립과천과학관 터널(인도-사람다니는길)을 지나가다가 뚜르르륵. . .뚜르륵. . . 해서 가봤는데 나뭇잎 밑에 이놈이!!집에가서 도감 찾아그보니까 모대가리귀뚜라미 라고 한다. 얼굴에 약간 검은 네모 껍질을 뒤집어쓰고 있는것 같았다. 과학관 가는길에 먹던 코코넛 칩의 쪼가리를 넣어주었는데 정말 잘 먹어서 먹는 장면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왜 이제서야 귀뚜 ...
                            
 
                        
                        
                                            
                                                        - 서울.성북.라이노비틀즈20160727 고정탐사 북악산와룡공원 탐사후기탐사기록                                        l20160727
 
                            - 저희가 가는 고정탐사1,2구역은 한양도성 4대문중 북쪽문인 숙정문가는길에 있는 북악산 초입쯤 입니다~산이라 매미소리가 좀달랐고요~ 매미와 탈피각은 대부분 아주 높이 있어서 발견하기도 힘들고 수집하기도 어려웠어요.  산에 사는 매미는 체력이 좋아서 탈피도 높은데까지 올라가나보다고 웃었습니다.  매미소리는 엄청난데 비해 눈으로 확인한건 겨우3~4마 ...
                            
 
                        
                        
                                            
                                                        - 보존과학으로 분석하고 복원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들기사                                        l20160524
 
                            - 있는 유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X선 투과조사, 현미경 촬영, 성분 분석 등을 통해 제작 기술을 조사하였고, 현미경을 보며 직접 세겨서 원래의 형상에 가깝게 복원하였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 문화재 유물들은 여러 빛을 이용한 과학이(ct, x선 ,감마선 등등) 숨어 있습니다. 단, 주의할점 감마선은 엄청 나게 강한 빛으로 감마선을 사용할 ...
                            
 
                        
                        
                                         이전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