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이득
덕택
유리
유익
헤택
d라이브러리
"
혜택
"(으)로 총 5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보편화되지 않은데다, 뇌사자가 기증하는 장기도 환자의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그
혜택
을 받는 환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많은 생명과학자는 돼지나 원숭이 등의 동물장기를 인간에 이식, 치료하려는 연구를 시도해 왔다. 특히 돼지는 장기와 피부조직이 인간과 가장 가까운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갑이 불편하지만 다양한
혜택
과 기능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이 모든
혜택
을 단 한장으로 누릴 수 있다는 스마트카드가 출시돼 화제다. 그 개념과 원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건무는 버스의 빈자리에 앉자마자 안경을 벗어 손수건으로 안경에 서린 김을 닦았다. 같은 반 친구인 현수가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용 vs. 나무의 마찰을 이용로빈슨 크루소의 작가인 다니엘 데포(1661-1731)는 문명의 모든
혜택
으로부터 격리된 무인도의 삶을 상상할 수 없었을까. 로빈슨 크루소는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갖고 있었다. 물론 당신도 라이터나 성냥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 ...
인류 최초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많다. 인쇄기, 증기기관, 전화기, 무선전신, 전등과 같은 발명품이 인류에게 어떤
혜택
을 주었는지는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쉽게 알 수 있다.이들 발명품이 단시간 내에 인간의 생활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었다는 점을 역으로 생각하면 앞으로 이와 유사한 발명품이 개발되면 똑같은 과정, 즉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때로는 귀찮은 듯. 우리는 컴퓨터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혜택
받은 이들만 컴퓨터와 대화하는 상황을 용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가끔은 이야기를 나누기가 귀찮아질 때도 있다. 우리는 컴퓨터를 어디에나 데리고 다니고 싶어하지만, 동시에 이들에게 구속되기는 싫어진다. ... ...
식지 않는 피자 포장 쓰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그러나 직원의 아이디어가 회사에 채택됐음에도 제안자에게
혜택
이 전혀 돌아가지 않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직원이 항의라도 하면 대답은 천편일률적이다. 회사에서는 예전부터 그 아이디어를 잘 알고 있었지만 확신이 없어 시행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마침 직원이 유사한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분명히 밝힌다. 말기거나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가 일어난 간암의 경우 밀리칸주의
혜택
을 받지 못한다는 얘기다.이스라엘과 제휴 맺어 국제시장 공략정소장도 요즘 신약 개발이 한창이다. 동화약품에서 꾸준히 투자를 해 갖춘 우수한 연구인력과 장비가 있기 때문이다. 정소장은“신약 개발에 15년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후 돌리는 수많은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복제의 성공으로 인해 인류가 누릴
혜택
보다는 인간 존엄성의 파괴에 대한 우려가 더욱 많이 제기됐다. 그리고 세계의 많은 국가가 인간 존엄성의 보호라는 이유로 인간 복제를 금지시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과연 인간의 존엄성은 어디에 있는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만나지 못했다면 진가를 발휘하지 못했을 것이다. 생활에서 풍부한 디지털 혁명의
혜택
을 누릴 수 있도록 해준 디지털 저장장치야 말로 디지털 혁명의 일등 공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문자와 그림으로 종이에 정보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방법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됐을 뿐 아니라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주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특히 중국 대련 농업연구소의 장화명 박사가 정단장의
혜택
을 받았다. 처음에 장박사는 좋은 품종의 감자를 개발했지만 기존의 기술로는 농민들이 종자를 구하는데 10-15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크게 실망했다. 하지만 정단장의 조직배양기술 덕분에 ‘초백’이라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