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블루
물결
너울
파도
남
d라이브러리
"
파랑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목적으로 위성사진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함유하고 있는 엽록소의 양에 따라 바다색깔이
파랑
에서 녹색까지 변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이어서 연구팀은 그 해의 바다표면 온도를 월별로 점검했다. 그리고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온도를 올리는데 기여한 열의 양을 산정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 자료를 활용하겠다는 것이다.최근 제주도 서남쪽 85해리 떨어져 있는 전설의 섬 '
파랑
도'(수심 5.5m)도 해양관측점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종합해양관측망이 구축되면 수집된 자료를 분석 정리해 관련기관에 배포할 종합해양정보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이 ... ...
허블이 보내온 토성 사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구로부터 3억9천만㎞ 떨어진 거리의 토성 모습. 광대역카메라로 잡았다. 컬러 이미지는
파랑
초록 빨강의 3가지 사진을 중첩해서 얻었다.이 사진은 토성의 북극지방 상공의 대기 모습이 비교적 상세하게 찍혔는데, 이는 보이저 탐사에도 잘 잡히지 않았던 부분. 천문학자들은 이 사진을 통해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또한 해저에 저장된 석유 석탄 망간 천연가스 등 광물자원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조석
파랑
등을 이용해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의 원천이기도 하다. 앞으로 인류의 생활 터전으로서 귀중한 자연환경이라 할 수 있다.바다는 그 광대한 규모로부터 유래되는 높은 물리화학적 내지 생물학적 안정성을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부하가 없다는 뜻). 또 쿼크는 색소를 갖지만, 반쿼크는 반색소(반빨강 반녹색 반
파랑
)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중간자도 역시 무(無)색소다.강작용의 매개입자는 글루온(gluon, glue는 아교 또는 접착한다는 뜻)이다. 이 글루온은 그 자체가 색소를 띠고 있어서 자기들끼리도 강작용을 할 수 있다.쿼크에는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다르게 보이는데, 이것이 곧 색으로 4백nm 근처가 보라색이며 파장이 길어짐에 따라 남
파랑
초록 노랑 주황색을 거쳐 7백nm 근처가빨강색이다.가시광선의 보라색보다 파장이 더 짧으면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데 이 영역이(약 4백nm부터 수 nm까지) 자외선이다. 이 자외선의 이용으로는 우선 ... ...
해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등 모든 자원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구의 마지막 보고로 각광받고 있다. 암흑과 수압,
파랑
등 특수환경 때문에 해양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데는 많은 장애가 따르지만 최근 컴퓨터를 비롯한 광통신 전자 유전공학 신소재 등 첨단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은 해양개발기술의 진보로 그 개발 이용의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남서쪽 부근에 해식애나 파식대(wave cut platform)의 발달이 뚜렷한데, 이는 서도 남서부에
파랑
이 가장 많이 집중된다는 것을 반증한다.독도에는 어떤 식물들이 살고 있을까. 이제까지 학자들이 밝힌 식물의 종류는 60여종. 옛날부터 나무가 자라지 않는 돌섬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매우 빈약한 ... ...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함 색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어떤 색을 표시할 수 있다.흔히 아는 것과 같이 빛의 삼원색은 빨강(Red), 초록(Green),
파랑
(Blue)으로 말할 수 있으나 위의 엄격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상적인 삼원색을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정의하고 각 원색에 대해 파장별 자극치를 변수로 색을 표시하는 것이 CIE색표시 방법이다.색을 측정하는 ... ...
PART1. 개념과 특성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한 파장과 같아지므로 보강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기름막이 보다 얇은 곳은 파장이 짧은
파랑
색에 대해 보강간섭을 일으키고 두꺼운 쪽은 파장이 긴 빨강색에 대해 보강간섭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름막의 두께에 따라 오색의 간섭무늬가 관찰되는 것이다. 광파의 간섭을 이용함으로써 파장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