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하도"(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소년들은 동굴 고립에 대한 대비가 전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위험을 맞이했어요. 구조대가 언제 자신들을 발견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이들이 할 수 있는 건 ‘최대한 오래 살아남기’뿐이었지요. 소년들은 어떻게 동굴에서 긴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걸까요? 7월 2일 밤 10시, 동굴 입구로부터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지금 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있는 유명한 다이아몬드 광산에 와 있어. 여기에서 최고급 다이아몬드가 나온다는 소문을 들었지. 여기저기서 다이아몬드 원석을 캐느라 바쁘네. 그런데 다이아몬드 원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보석의 왕’ 다이아몬드의 탄생지는?다이아몬드는 지표 ... ...
- 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저기 여러 사람들이 원석을 관찰하고 있어. 그런데…. 윽! 가까이 들여다보니 다이아몬드 안에 불순물이 많아. 보석으로는 못 쓸 것 같은데, 뭘 그리 관찰하는 거지? 다이아몬드로 지구 내부를 연구한다?!다이아몬드는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끼어들기도 해요. 이를 ‘내포물’이라고 해요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본 총회에서는 53개국 대표의 만장일치로 킬로그램(kg)과 암페어(A), 켈빈(K), 몰(mol) 등 4가지 단위에 대한 개정안을 채택합니다. 오늘 새롭게 재정의된 단위들은 2019년 5월 20일부터 사용됩니다.” 배리 잉글리스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의장이 조금은 떨리는 목소리로, 하지만 담담하게 회의 결과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에 있는 해발 989m의 예미산에는 특별한 엘리베이터가 있다. 바로 ‘우주의 미스터리’로 불리는 암흑물질을 찾으러 지하 600m깊이까지 수직 갱도를 따라 땅속으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다. 사진은 이 엘리베이터 안에서 지상을 향해 찍은 것이다. 이곳에서 더 내려간 지하 110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18년 국내외 과학계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도전’과 ‘불신’이었다. 인류 최초로 소행성 표면 탐사에 성공했고, 로켓 재활용 시대가 열렸으며, 첫 민간 달 관광객이 결정되면서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계속됐다. ‘부실학회’ 사태는 국내 과학계에 경종을 울렸고, ‘라돈 침대’는 생활 방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18년 10월 24일 오전 9시,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할 순간이 왔다. 먼저 경막외강으로 투입할 카테터를 로봇 팔에 설치한 뒤 조이스틱을 움직여 작동 여부를 시험했다. 결과는 고무적이었다. 앞뒤 그리고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카테터가 원활하게 움직인 것이다. 이제 가장 중요한 임무가 남았다.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입자를 집는 방법은 없을까. 빛의 힘을 측정하던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연구원(현재 은퇴)은 1970년 우연히 작은 입자를 빛으로 포획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레이저로 세포와 바이러스 포획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하늘에서 별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영화 ‘타이타닉’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 로즈가 바닷속으로 던져버린 블루 다이아몬드 목걸이를기억하는가. 이 목걸이는 ‘대양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호프 다이아몬드(Hope diamond)를 모태로 만들어졌다.호프 다이아몬드는 진한 청색을 띠는 블루 다이아몬드로, 소유한 사람에게 죽음을 가져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난 5월 22일이 무슨 날인지 알고 있나요? 바로 유엔(UN)에서 정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International Day for Biological Diversity)’이에요. 마침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몸소 배워온 친구들이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 볼까요? [기사 1]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