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도"(으)로 총 1,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015년과 2017년 각각 키블 저울을 이용해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올해 이 값으로 kg을 재정의하기로 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키블 저울 방식으로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연구를 2012년 시작했다. 1980년대에 연구를 시작한 미국과 유럽, 2005년에 ...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 1월 1일자에 발표했다. 슈퍼박테리아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는 강력한 박테리아다. 젖꼭지가 없는 오리너구리는 새끼에게 배꼽 위에 있는 피부구멍으로 모유를 먹인다. 이때 모유가 공기에 직접 닿는 시간이 많아 박테리아의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연구팀은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마이너스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이 제도는 학생들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며 “이 제도가 무학과 단일학부 시스템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만족도도 매우 높다”고 말했다. DGIST는 융복합 교육을 위해 2학년 때까지 기초 과학 및 공학 과목을 배우고, 3~4학년 때 전공 심화과목을 이수하게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르치는 ‘튜터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튜터에게는 장학금이 지급된다. 이런 제도 덕분에 전기·정보공학부 입학 뒤에는 교육의 측면에서 대학 교과목을 선행한 영재고나 과학고 등 특목고 졸업생과 그렇지 않은 일반고 졸업생 사이의 차이가 사실상 없다. 이병호 학부장은 “교수들이 ...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홍보한 결과 시민들이 미세먼지 위험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제도적 규제가 이뤄진 덕분”이라고 말했다. 반면 평택 등 경기 남부와 충남 지역은 오히려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데다, 무엇보다도 바닷가에 ...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썼어요.” 하지만 자기소개서를 읽어보고 수정하는 과정에서 생각을 바꾸게 됐다. 주제도 대회와 소논문(R&E) 활동 두 가지로 압축했다. 그 대신, 왜 하게 됐고, 진행 과정에서는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어떤 열정으로 계속해 나갈 수 있었는지 를 자세하게 썼다. “제가 했던 노력과 느꼈던 감정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시민 불복종’이 정당화되는 경우 인권을 포함한 기본권을 침해하는 부당한 법이나 제도를 바꾸기 위해 그것을 위반하는 행위를 ‘시민 불복종’이라고 한다. 타국의 부당한 지배와 억압, 국민의 기본권을 부정하는 부당한 권력 행사에 맞서 역사적으로 시민 불복종 운동은 다양하게 전개돼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암호화폐만은 아닐 것이다. 그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보상 제도로 이끌어내고, 그 결과로 동작과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는 선순환적인 글로벌 경제 생태계 플랫폼으로서의 블록체인일 것이다. 이종혁상명대 소프트웨어학과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2009~2013년 프랑스 ...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함께 수학교육이 확! 바뀝니다.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학습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선택 과목을 만들었다고 해요. 과연 수학교육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어디 한번 살펴볼까요? 달라진 수학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위원회는 합성생물학 연구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갖춘다면 합성생물학 연구는 안전하게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합성생물학은 아직 초기 단계로 지속적인 연구의 확장이 필요합니다. 수십 개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