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부"(으)로 총 1,415건 검색되었습니다.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닮음인 사진을 만들 수 있다고 했죠? 그런데 가로세로를 동시에 늘이거나 줄인다고 전부 닮은 건 아닙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가로세로를 같은 비율만큼 늘이거나 줄여야 닮음이지요. ‘비율’이라고 썼다고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쉽게 말해 가로의 길이가 2배 커지면 세로의 길이도 딱 2배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배우고 활용하는 공대 내에서 화학생물공학부는 유일하게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식을 전부 활용하는 전공입니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학부장을 맡고 있는 김재정 교수는 화학생물공학부에 대해 이같이 설명하며 “세 과목을 골고루 잘해야 해서 힘들지만, 그만큼 배우는 범위가 넓고 진로도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촉촉해집니다. 수비드 조리법의 첫 번째 비결은 음식이 담긴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전부 바깥으로 빨아내는 진공 과정입니다. 재료를 둘러싼 압력이 낮아지면서 파우치 내부의 진공도가 올라갑니다. 이때 파우치 내부의 진공도에 따라 재료 속 물 분자의 끓는점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파우치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같은 위치에 있는 두 숫자를 순서쌍처럼 한 칸에 차례대로 넣는 거지요. 이렇게 전부 순서쌍으로 나타냈을 때 겹치는 순서쌍이 하나도 없어야 해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직교라틴방진이 가장 오래됐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6년 여러 수학자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역균형 선발전형의 면접은 일반전형과는 달리 인성 면접이다. 유 씨는 면접 일주일 전부터 자기소개서와 참고 자료 등을 꼼꼼히 보면서 외웠다. 그는 “예상 질문을 뽑아 학교 선생님이나 친구들과 연습을 많이 했다”며 “문을 열고 면접관에게 인사한 뒤 면접을 끝내고 문을 닫고 나가는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정말 변하지 않는 건 없을까. 사춘기 소녀였던 저는 그런 ‘영원’한 것이 있다면 인생 전부를 바쳐도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때 수학을 만났죠. 수학은 한 번 증명하면 지구가 살아 있는 한 바뀌지 않는 진리고, 그래서 몇백 년 전에 증명한 것도 여전히 쓰여요. 아직도 영원한 걸 찾고 있는데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라며, “리만 가설이 풀리면 증명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이론들이 다른 문제를 푸는 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자연을 아우르는 절대 수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동물 무늬 패턴을 만드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고, 엄밀하게 잘 세운 수학식 하나로 전부 설명할 수 있을 거라 믿었습니다.그리고 이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반응-확산 방정식’을 이용합니다. 튜링의 유일한 생물학 논문에 적힌 바로 그 식이지요. 튜링은 한 가지 물질의 반응-확산만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때는 손으로 쓰기보다는 머릿속으로 시각화해서 정리하려고 노력합니다. 시험 2~3주 전부 터는 시험 대비를 하는데, 5일 정도는 그동안 배웠던 내용 들을 정리하고, 이후 문제를 풀면서 암기합니다. 비록 내용 정리를 통해 큰 틀은 잡았지만, 세세한 내용은 문제 속의 예시를 보면서 실전에서 익히는 ...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않아요. 튜링은 수학 모형을 세우고, 그것으로 동물 무늬 패턴을 몇 가지로 분류한 게 전부거든요. 생물학 문제 어디에도 적용하지 않았어요. 제 생각에는 제임스 머레이 교수가 수리생물학에 더 크게 기여한 것 같아요. 머레이 교수는 우연한 계기에 튜링의 논문을 발견한 뒤 튜링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