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가"(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무선 샤워기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수도꼭지에서 샤워기에 물을 보내겠다는 이야기네요. 우선 전문가에게 실현 가능성을 문의했습니다.1해봤습니다: ‘물 와이파이’ 가능?“무선 전달은 파동일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물은 파동이 아니기 때문에 불가능해요.”이영민 KAIST 화학과 교수는 “물의 무선 전달이 ... ...
- [탐헉대학] 주니어 극지 연구 프로젝트 “이들은 이미 현재진행형 과학자”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연구까지 계획한 탐험대원들빙하탐험대는 빙하, 얼음화학, 미생물 세 가지 분야로 나눠 전문가의 멘토링을 받고 연구를 수행했다. 분야는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기후변화’를 탐구 주제로 선택한 대원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빙하 팀의 오인혁 군(인천 부광고 1)은 ‘온난화에 따른 영구동토층 속 ... ...
- [기획] 2022동계 올림픽 눈 없는 곳에서 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습설, 반대로 너무 오래 떠있으면 스티로폼 가루처럼 만들어지는 건설이 되죠. 김강우 전문가는 “스포츠에 사용되는 눈은 실시간으로 외부 기온을 살피고, 바람 방향, 습도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예민하고 정교한 작업의 결과물”이라고 전했답니다 ... ...
- [기획]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의 등장! 2022년에 코로나19 종식될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019년 말부터 시작해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코로나19! 2021년 8~9월까지만 해도 전문가들은 2022년이 코로나19 시대를 판가름 짓는 시기가 될 거로 전망했어요. 하지만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이 발생하며 코로나19의 방향은 불투명해졌습니다. 과연 2022년에 코로나19는 어떻게 될까요 ... ...
- [기획] 코로나 19 타임라인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어렵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독감처럼 코로나19가 ‘풍토병’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합니다. 풍토병은 특정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질병으로, 계절 또는 지역에 따라 코로나19가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확진자가 나오지 않는 ‘의학적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생각했다. Q.리액트의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얻었나?해결책은 구급대원들과 응급처치 전문가들의 조언에서 찾았다. 흉기에 의한 상처를 다룰 때 흉기를 절대 뽑지 않는다고 했다. 흉기가 상처 부위에 내부적인 압력을 주면서 내부 출혈을 막고 있다는 이유다. 리액트는 이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세웠던 2021년 새해목표의 근황을 수집했습니다. 그중 두 가지 사례를 뽑아 심리학 전문가인 박진영 심리학 칼럼니스트와 함께 분석해봤습니다. 함께 살펴보시죠. #사례. 12021년에는 꼭 한다. 다이어트! 목표 달성에 실패하는 이유가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방법을 제시하는 학문입니다. 그만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산업 문제 해결의 전문가가 되고 싶은 분들을 기다리겠습니다. ※필자소개임문원. 한양대 산업공학과 확률통계모형연구실에 재학 중이다. 현재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한 신호, 이미지 기반 이상 탐지를 전공하고 있으며, 통합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식물의 모습으로 기후변화를 알아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10곳의 수목원과 협업을 해 우리나라 주요 산의 식물 계절을 관측 중이에요. 그런데 전문가들은 지식은 풍부하지만 소수라서 10년간 수목원이 관측한 우리나라 지역은 총 50개밖에 안 돼요. 우리나라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려면 시민들의 도움이 필요한데, 지구사랑탐사대는 대원들의 호기심을 ... ...
- 날짜가 정답 되는 달력이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수학자들의 연구기관인 대한 수학회(KMO)는 매년 수학달력을 제작 하고 있어요. 수학 퍼즐 전문가인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가 2014년 우리나라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를 기념해 처음 수학달력을 만들었어요. 당시 뜨거운 인기를 얻어 매해 만들기로 했지요. 수학달력은 겉으로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