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d라이브러리
"
저명
"(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공동 연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을 거쳐 간 고등학생들은 대학 입학 후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또 이산수학을 통해 수학영재를 발굴한 인물도 있다.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인 헝가리의 파울 에르도쉬는 조합론의 대가였는데, 자신의 연구에 쏟는 열정만큼 ... ...
한반도에서 몸길이 6cm 아열대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슴하늘소임을 확인받았다. 두 사람은 이번 발견에 대해 공동논문을 작성, 현재 영국의
저명
한 곤충학 학술지인 ‘엔터말러지스츠 먼슬리 매거진’ (Entomologist's Monthly Magazine)에 투고한 상태다.이 교수는 “채집한 두 마리 가운데 큰 것은 몸길이 6.2cm에 몸통너비가 2cm에 이른다”며 “온대지역에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알려지지 않았던 동해의 새로운 모습이 알려지게 됐고, 미국 지구물리학회 등 국제
저명
학술지와 국제 학술세미나에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그 연구 성과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해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유상진 박사(34)는 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 ...
02. 지능, 유전의 영향 나이들수록 막강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8(12.5%)이 전달된다. 따라서 갈톤의 발견은
저명
인사와 유전자를 공유하는 비율과 후손이
저명
인사가 될 확률이 대체로 비례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에서 자행된 우생학 남용은 지능의 유전성을 진지하게 연구하는데 한동안 큰 장애가 됐다.6번 염색체에 관련 유전자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때문에 폐에 잘 들어가지 않는다고 ‘독성과학학회지’에 발표한 것. 이때의 연구는
저명
한 독성학자인 데이비드 워하이트가 이끄는 연구팀이 2002년 여름에 실행한 것이었다.당시 듀폰의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의 독성 여부를 알아보려고 쥐의 기도에 탄소나노튜브를 주입했다. 점점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확인됐다. 그뒤 중국 후난성 동굴유적에서 1만1천년전의 볍씨가 발견됐다. 미국의
저명
한 고고학자인 브루스 스미스도 1997년 미국고고학회 도서상을 수상한 그의 저서 ‘농업의 출현’(The Emergence of Agriculture)에서 양쯔강 기원설을 택하고 있다. 한동안 벼농사 종주국의 자리를 즐기고 있던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팀에는 엘드리지가 합류했고 도킨스(D)팀에는 데넷이 토론자로 나섰다. 특별 손님으로는
저명
한 생물철학자이면서 생물학사가이기도 한 마이클 루즈 교수가 자리를 같이 한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스티렐니가 마이크를 잡는다. 그런데 어딘가에서 친숙한 음악소리가 들려온다. 방송 시작 사인이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순차적인 세포내공생 이론’이라는 당시로는 도발적인 주장을 담은 원고를
저명
한 과학출판사인 아카데믹 프레스에 보냈다. 수개월간 초조하게 답을 기다리던 그녀는 편집자의 서명도 없는 짤막한 거절편지와 함께 원고뭉치를 돌려 받았다.이런 우여곡절을 거쳐 마굴리스의 책은 ‘진핵세포의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첸쉐썬(錢學森)이 1955년 중국으로 귀환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첸쉐썬은
저명
한 독일계 항공우주과학자 폰 칼만의 수제자로, 망명하면 아군 5개 사단과 필적한다고까지 평가된 과학자다. 그는 제2차세계대전 중에는 미국 국방과학자문위원회 책임자였고, 전후 매사추세츠공대(MIT)와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참가한 이 레이스에서 최종 승리의 영예는 놀랍게도 국내 연구자들이 차지했다. 영국의
저명
한 과학저널 ‘네이처’ 9월 4일자는 비아그라가 작용하는 원리를 원자수준에서 밝힌 우리나라 바이오벤처인 크리스탈지노믹스의 연구 결과로 표지를 장식했다. 차세대 발기부전 치료제를 향하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