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 과학"(으)로 총 4,4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와 시민과학, 아직 잘 모르겠다고요? 알려드리죠! 시민과학, 올해 같이 할래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사이의 소통이 원활해졌죠. 기술 덕분에 시민과학이 활성화됐다고 생각해요. 지사탐을 통해 어떤 것을 얻으셨나요? 시민과학이 어린이를 성장시킨다는 걸 깨달았죠. 어린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활동이 바로 자연에서 현실감각을 익히는 것이라 생각해요. 지사탐을 통해 어린이들이 자연을 알게 ... ...
- [융복합@파트너]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개발하는 분야를 ‘실리콘 포토닉스’라고 부른다. 한상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는 여기에 미세 조절이 가능한 ‘멤스(MEMS)’ 기술까지 더해 자연모사 방식의 극초고속 계산기, 드론, 자율주행차 등 이동체 간의 장거리 통신에 적합한 광스위치를 연구하고 있다. 그는 “연구의 키워드는 ... ...
- [이달의 책] 인간과 동물 사이의 장벽은 환상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하며 자란 포스터 감독은 오히려 자연을 스승이자 부양자로 여긴다. ... 선생님이 존재한다. 덕분에 그는 과학자들도 미처 몰랐던 새로운 해양 ... 포스터와 함께 바다를 누비며 자연에 동화돼 가는 과정을 그린다. ... 조용히 승리한다다정함의 과학켈리 하딩 지음│이현주 옮김더퀘스트│376쪽│1만 ... ...
- 과학│오렌지 향에는 오렌지가 없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느껴진다. 냄새의 정체는 물질의 형태? 진동? 과학자들은 혀로 느껴지는 맛은 5가지에 불과하고, ... 신선한지 잘 익었는지도 가려낸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아직 우리의 뇌가 어떻게 수만 가지 향 ... 위한 것이다. 맛은 원래 독과 위험이 넘치는 자연물 중에서 아무리 배가 고파도 먹어서는 안 될 ... ...
- [인터뷰] 이름을 붙여주자 비로소 향기가 됐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핸드크림을 건넸다. “비 온 뒤 축축하게 젖은 땅 냄새가 나지 않나요? 자연 향기를 최대한 담아보려 했죠.”더스킨팩토리의 쿤달은 2016년 샴푸와 헤어 ... 시트러스 계열의 향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죠. 조향 공부를 하니 ‘향기는 과학’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알고 나니 향기 취향도 바뀌었다. ... ...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발산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지난해 12월 3일 과학동아와 쿤달이 선정한 3가지 향으로 3개의 ... 끝 향은 묵직하게 3가지 핸드크림 샘플로 과학동아와 쿤달은 다시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 ... 느낌을 살려 싱그러운 과일과 향긋한 꽃, 그리고 자연의 향을 조화롭게 담았다. 톱노트에는 레몬 향과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③ 1만5000개의 핵무기가 터졌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079 식량 생산이 중단되고, 생태계가 붕괴돼 대다수의 인류는 굶어야 했다.과학자들은 이미 핵이 몰고 오는 겨울이 얼마나 황량한지 계산해뒀다. 이 ... 방사능에 피폭됐다. 그리고 점점 더 멀리 지구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자연에 존재하는 평균 방사선량이 두 배로 뛰어 이전보다 암에 걸릴 가능성이 ... ...
- [드론으로 본 제주] 독특한 화산의 흔적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지형을 품은 ‘수월봉’이다.※ 편집자 주. 과학동아는 드론탐험 스타트업 ‘브리칭’과 함께 총 ... 소개합니다.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한 모습, 과학으로 확인한 제주의 속살, 자연보호를 위해 드론으로 촬영한 숨은 지형까지 제주의 모든 모습을 보여드립니다. 브리칭은 제주를 시작으로 ... ...
- [융복합@파트너]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월 5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박치영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 모방한 분자공학 기술이다. 박 교수는 “가장 친환경적인 것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인류와 지구에게 유용한 기술을 연구하겠다”고 말했다.아찔한 실수가 생체 모방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