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
자율
d라이브러리
"
자발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4회 국제청소년물리학자토너먼트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살펴보았다. 미국과 호주팀은 국가 대표 선발전을 거치지 않고 한 학교에서
자발
적으로 구성된 팀이 출전한다. 반면 폴란드는 34개팀이 참여한 국내대회를 통해 대표팀이 선발된다. 헝가리는 부다페스트대에서 IYPT 대회를 공고하고 학생 개인별로 탐구보고서를 제출하면 우수한 개인을 선발해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고쳐놓고 사라지기도 한다. 이름하여 노자적(老子的)인 위키 관리자가 된 것이다. 그것도
자발
적으로. 이렇게 K씨는 본인도 모르는 사이 댄스 황태자가 되어가고 있었다.귀중한 지식 공유하는 공간이 이야기는 분명 픽션이지만, 충분한 개연성이 있다. 아직 춤을 주제로 한 위키위키 사이트는 필자가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pyroelectric effect)를 이용한 초전형 적외선센서다. 초전 효과란 전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자발
적으로 극성을 갖는 강유전체에 적외선을 비추면 온도변화로 인해 표면전하가 방출되는 현상이다.초전형 적외선센서는 파장이 0.2-20μm인 광범위한 적외선을 감지한다. 발광소자가 필요없이 온도를 갖는 모든 ... ...
추위와 인체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차이를 판단해 호르몬을 분비하고 체온을 조절한다. 또한 체온이 낮아지면 자율신경계의
자발
적인 동작으로 근육이 떨리고 땀구멍과 피부 근처의 혈관이 닫힌다. 추울 때 또는 차가운 물체가 피부에 닿을 때, 몸이 반사적으로 으스스 떨리거나 피부에 핏기가 없어지는 현상에는 시상하부와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조정을 받느냐 아니면 자기의 의지를 내세우면서 조정을 받느냐 둘 중 하나인데….
자발
적인 복제 찬성론자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홍재_ 영화에서 과학자들은 하나같이 너무나 뛰어난데 왜 항상 이용당하는 것으로 나올까요.상준_ 공상과학 장르에서는 ‘매드 사이언티스트’(mad scientist)라는 ... ...
암 일으키는 돌연변이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유전자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손상을 입을 수 있고,생체 내에서
자발
적으로 퓨린이 분리되는 반응에 의해 DNA의 염기를 잃는 손상이 하루에 1만번이나 발생할 정도로 그 빈도가 높다.퓨린은 DNA 구성원의 하나다.이러한 유전자의 손상은 자기복제 과정에서 빈번하게 돌연변이를 발생시키게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이 경우 다른쪽을 위해 암환자인 쪽이 자신의 생명을 포기하는 결정을 자기 책임 하에
자발
적으로 내릴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는 이것도 결코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현재 한달을 갓 지난 메리는 그러한 결정을 할 능력이 전혀 없다. 이때 누가 메리를 대신해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그 ... ...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6백nm정도의 노란색까지 발광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미 1971년에 판코브가 청색
자발
발광소자(LED)를 제조함으로써 청색 발광물질로서의 가능성은 보여주었으나,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단결정 물질 형성이 어려워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질화물 반도체 물질 형성에 대한 어려운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또다시 유전정보에 대한 접근권의 물음이 발생한다. 물론 개인이
자발
적으로 유전자 이상을 발견해 자녀 출산을 삼가한다면 그 결정은 존중돼야 한다. 정상과 장애를 구분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국가가 사회보장비용을 이유로 개인으로 하여금 유전자 검사를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제지간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1960년대 말에 네델란드 유트레흐트 대학의 벨트만 교수는
자발
적으로 대칭성이 깨진 게이지 이론이 재규격화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했다. 1969년 벨트만 교수에게 22살의 대학원생 호프트가 박사과정으로 들어왔고, 호프트는 모든 사람의 예상을 깨고 이러한 이론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