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주
australia
australian
d라이브러리
"
오스트레일리아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박제된 동물 한 마리가 새로이 발견된 신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로부터 영국으로 실려왔다.
오스트레일리아
는 이미 구대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식물과 동물들의 원산지로 인식되어 왔지만 이번만큼은 정말 희한한 것이었다. 이 박제된 동물은 약 2피트의 키에 털이 가득했다. 탄력성있는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방이다. 또 워커순환 상승부의 이동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파푸아 뉴기니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의 대부분의 지역은 가뭄을 겪게 된다. 반면 적도 중앙태평양에 위치한 여러 섬들과 에콰도르 페루 연안지역은 홍수를 겪는다.엘니뇨현상의 영향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전파돼 나간다. ... ...
1만5천년 된 두개골로 조상 밝힌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분분했던 여러가지 가설들을 검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발견자의 한 사람인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 선사시대과의 알란 톤 박사의 말이다.그간 일군의 과학자들은 호주인의 조상이 4, 5만년전 인도네시아로부터 이주해온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톤박사를 포함한 또다른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다. 유럽에서는 아이슬란드 스웨덴 중부 노르웨이 동남부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와 북쪽의 추운지역에서는 발견할 수 없다. 고슴도치는 추위에 매우 약해 한랭지역에서는 살 수가 없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두 아종(亞種)이 살고 있다. 북부지방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는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은 약 1백70만년 전,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가 등장한 이후였고 아메리카대륙과
오스트레일리아
로 인간이 건너간 것은 불과 수만년 전이었다. 다시 말해 현대인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가 등장한 다음의 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인류의 진화와 확산의 역사에서 한반도는 어느 ... ...
전기가 「콸콸」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멕시코 도미니카 등 중남미 10여개국에 불과하고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 대부분의 국가는 2백20V만을 가정에 공급하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은 우리처럼 겸용으로 공급한다. 특히 일본은 우리보다 승압률이 더딘 편인데 최근에 들어서 승압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솔라카 챌린지. 자국민인 퍼킨스가 세계 최초로 솔라카를 제작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
의 사업가인 한스 스톨 스트립이 1987년에 이 대회를 출범시켰다. 호주대륙을 남북으로 횡단하는 총연장 3천47㎞(세계 최장) 코스에서 각축을 벌이게 되는데 솔라카 관계자들에게는 축구의 '월드컵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충분해야 하고, 셋째 동공구조가 형성돼 있어야 한다.그러나 이 일본의 간헐천을
오스트레일리아
의 대찬정분지에 있는 간헐천과 비교하는 것은 큰 무리다. 벳푸의 용권지옥은 간헐천의 맛만 보여주는 소규모의 간헐천이다.세번째로 용권지옥 바로 옆에 있는 피연못지옥을 돌아 보았다. 말 그대로 ... ...
중성미자의 비밀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얻으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그들은 카나리아제도, 하와이섬,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남아프리카 등 네군데에 관측소를 설치했고 칠레지역에도 관측소를 건설중에 있다.이 계획을 총괄하고 있는 조지 아이작 교수는 이렇게 결론짓고 있다. "태양중심부에 WIMP가 존재한다는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자생력있게 발전해 갈 것으로 강이사장은 전망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과학재단은
오스트레일리아
의 NATA처럼 우수연구센터 전문인준기관으로 행사하게 된다."우수연구센터를 구성하려면 50명 이상의 교수가 모여야 합니다. 이 요건을 갖추는 것은 우리의 이공계 대학교수사회에서 대단히 힘든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