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정
d라이브러리
"
예산
"(으)로 총 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춥고 뜨겁고 더러워야 산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에서 엄청난
예산
을 들여 화성이나 명왕성까지 계속 무인탐사선을 보내는 이유도 혹시 지구인과 닮은 외계생명체가 존재하진 않을까 기대를 걸고 있기 때문이다.생명체는 액체 상태인 물에 의존하기 때문에 물이 존재하는 환경은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저분하고 악취가 나는 방과 깨끗한 방에 들여 보낸 뒤 ‘불법이민을 막기 위해 더 많은
예산
을 투입해야 한다’에 대한 질문에 답하게 했다. 실험 결과 지저분한 방에서 답을 한 사람들은 깨끗한 방에서 답을 한 사람들보다 찬성하는 답을 더 많이 했다. 즉 더러운 환경에서 동정심도 약해진다는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차세대 로켓 아레스도 이곳에서 조립될 예정.[16] NASA 본부, 워싱턴 D.C.NASA의 모든 정책과
예산
을 결정하고 프로그램을 감독한다.[17] 스테니스우주센터, 미시시피NASA의 가장 큰 로켓시험장이 있다.우주왕복선의 주 엔진은 모두 이곳에서 시험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NASA에서 온 편지NASA 5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구과학 연구에 쓰이는 인공위성이나 감지기를 개발하는 일 또한 JPL의 몫이다.JPL 1년
예산
은 16억 달러(약 2조원)로 현재 5000명의 정직원과 2000명의 계약직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한국인 직원은 약 80명 정도다. 큰그림 보러가기 큰그림 보러가기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NASA에서 온 편지NASA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운영한 뒤 1980년대 더 큰 규모의 우주정거장 ‘프리덤’을 세울 계획을 마련했다. 하지만
예산
문제가 불거지면서 자국의 두 번째 우주정거장 ‘미르2’를 짓고 있던 러시아와 손잡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마침 우주개발에 관심을 보이던 유럽연합 11개 나라와 일본, 캐나다, 브라질이 이 계획에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NASA 연구기술직원 1300명과 계약직원 300명의 수장이 된 것이다. 그가 2008년 집행한
예산
만 5억 달러(약 6000억 원)가 넘는다.“지식과 능력은 새로운 도전이 없으면 스스로 향상되지 않습니다. 우주는 이 도전을 이끌어내는 최고의 훈련장입니다. 우주만큼 인류에게 큰 위험과 도전을 주는 환경은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기술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구조물 설계에서 기술 향상을 위한 연구 지원
예산
을 확대 편성하고 관련 연구 기관을 신설·관리하며 우수한 연구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 외국의 우수 기술과 성공 사례를 도입해 연구 방향의 참고지침으로 삼아야 한다.지진 발생시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 ...
50 Years of NASA’s Achievement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개 센터를 운용하며 약 1만9000명의 직원을 지휘하고 있다. 2009년 회계연도에 제안된 NASA의
예산
은 약 20조원에 이른다. ※ 기사 원문의 저작권은 NASA에 있으며, 한국 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재편집과 수정을 했다 ... ...
과학문화 사업은 기본, 창의적 인재도 육성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중책을 맡게 된 그를 베이징올림픽이 한창인 8월 11일에 만났다.한국과학문화재단보다
예산
이 2배가량 늘어날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어떤 곳이 될지, 정 이사장과 인터뷰하며 가늠해볼 수 있었다.한국과학창의재단으로 거듭나 정 이사장은 1982년 과학기술처 사무관으로 시작해 지난 2월 과학기술부 ... ...
스위스 넘어 세계로 뻗는 취리히공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무엇보다 스위스 정부의 적극적인 이공계 육성책 덕분이다. 정부는 매년 1조 원이 넘는
예산
을 연구 활동에 지원하고 있다. 상위 1% 이내 학생 대부분이 이공계 대학에 진학하고 선호 직업 1순위는 과학자다. 연구개발 인력의 초봉은 의사나 변호사의 연봉과 비슷하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공부를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