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계"(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경영 혁신 사례 중의 하나다.반도체 만드는 현대판 ‘현자의 돌’석영의 쓰임새는 손목시계에 그치지 않는다. 중세 이후 연금술사들이 찾아 헤맨 ‘현자의 돌’, 바로 반도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 과학 기술 혁명이 가능했던 것은 반도체라는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는 것과 같은 착각에 빠지는 경험을 한다.설 소장은 “최면 의자에 앉아서 흔들리는 시계추를 보면 눈물을 흘린다는, 최면에 대해 잘못 알려져 있는 고정 관념을 깨야한다”면서 “최면은 누구나 겪게 되는 일상 속 체험”이라고 말했다.우리는 말을 하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손을 들어 턱을 괴거나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블랙 펄을 다시 되찾을 수 있을까? 이 역시 전편에 힌트가 있다. 준비물은 석궁과 모래시계, 염소. 한 명은 트럼펫을 불고, 한 명은 잭이 말한 이상한 행동(?)을 하면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연 블랙 펄을 되찾을 수 있을지 영화에서 확인해 보자. 그들은 스패로우를 찾고 있어캐리비안의 해적 1~ ... ...
- Part 3. [세 번째 실험] 가마가 생기지 않게 고양이 털 빗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퍼져나가는 모양을 보고 각 점마다 지수를 매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주위의 벡터가 시계방향으로 뱅글뱅글 도는 점의 지수는 +1, 나비의 양 날개처럼 퍼져나가는 점의 지수는 +2지요. 거듭제곱을 표시할 때 쓰는 지수와 소리는 같지만 뜻은 다르니 헷갈리면 안 돼요.가마가 없는 벡터장에서는 ...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촉진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각각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어택신-2가 생체시계 유전자를 촉진시켜, 24시간 주기의 생체리듬을 정상적으로 조절하도록 영향을 끼치는 셈이다.연구팀은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해 어택신-2가 만든 단백질(이하 어택신-2 단백질)과 결합하는 새로운 단백질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후성 나이는 예외다. 살짝 늦추는 것이 가능하다. DNA 메틸화 정도로 나이를 예측하는 후성시계를 개발한 미국 UCLA 생물통계학과 스티브 호바스 교수는 후속연구로 연령 가속화와 식단, 운동 등과 같은 생활습관 요인들의 관계를 밝혀 2017년 2월 학술지 ‘노화’에 게재했다. 호바스 교수는 생선, 과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숙사 입구에 서서 비밀과학집단을 기다리기 시작했어요. 옆에 선 피에로가 스마트폰의 시계를 들여다보고 있었지요.“이번에는 반드시 이길 거야!”파부르가 주먹을 꼭 쥐고 다짐했어요. 10초 전, 피에로가 크게 카운트다운을 하기 시작했어요.“10, 9, 8, 7, 6….”“저희 왔습니다!”5초 전, 노란색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번 주 금요일, 오~ 금요일에 시간 어때요. 주말까지 기다리긴 힘들어. 시간아 달려라. 시계를 더 보채고 싶지만.➋” 하면서 연인을 곧 만난다는 생각에 기대감이 상승하듯이, 어떤 곡의 좋아하는 부분이 곧 나올 거라는 생각에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꼬리핵이 활동하고, 그 결과 기분이 서서히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 있다.삼손 박사는 19~59세의 마을 주민 21명에게 밤잠과 낮잠을 기록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장비인 ‘수면기록계’를 차게 하고 292일 동안 관찰했다. 그 결과 조명이나 전자기기가 전혀 없는 곳에서 사는 사람들도 오래 자지 못했으며, 수면의 질이 나빴다.만데나 사람들은 해가 지고 약 2시간 뒤인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정반대로 나란하든지 둘 중 하나다. 그리고 빨간(시계방향 회전) 입자와 파란(반시계방향 회전) 입자는 늘 샴쌍둥이처럼 같이 있어야 한다(아래 그림_디랙 입자의 움직임과 에너지 띠 구조).이제 1cm3의 고체 덩어리가 있다고 치자. 물리학자가 아니라면 전자가 어디 있느냐는 물음에 1cm3의 공간 속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