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양식
규정
규칙
모범
형식
윤색
d라이브러리
"
수식
"(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이타성의 진화를 수학적 이론으로 만들겠다는 뜻을 품은 윌리엄 해밀턴은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해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은 없었고 ... 오해와 비난에 시달리는 이유다. 해밀턴이 워털루 기차역 대기실에 앉아서 씨름했던
수식
모델은 다음 호에 엿보기로 하자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모방해 만든 분석체계로, 수학 그 자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확률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수식
으로 신경망을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통역기가 ‘Hello’라는 문장을 ‘안녕하세요’이라고 통역했다면 ‘안녕’이나 ‘여보세요’보다 의미가 정확히 맞을 확률이 높아서지요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구체화시키기가 매우 힘들었다. 바둑의 추상적인 개념들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수식
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바둑 돌의 위치에너지 등 복잡한 개념이 동원됐다. 현재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도 개발자가 입력한 몇 가지 시나리오를 토대로 상대의 정보를 파악한 뒤 실행에 옮기는 방식이다. 문제는 ... ...
[소프트웨어] 일차 함수 그래프 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열악한 상황에서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모든 문제를 수학적으로 생각하고
수식
으로 나타내 풀었습니다.당시 영국은 식량을 배를 이용해 전쟁터로 날랐습니다. 하지만 독일의 공격으로 번번이 실패해 식량 부족이 매우 심각했습니다. 싸우다 죽는 사람보다 굶어 죽는 사람이 더 많을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이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단이 없었는지 알 길이 없다. 나중에 해밀턴은 이타적 행동의
수식
모델을 만드는 작업에 처음 착수했을 때, 그 전에 피셔의 책을 분명히 읽긴 했지만 고약한 맛에 대한 피셔의 논의는 머릿속에 없었다고 회상했다. 하긴, 책을 읽을 당시에는 이타적 행동이 자신의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교수는 ‘F = ma(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을 뽑았는데, 복잡한 물리법칙을 간단한
수식
으로 나타내 일반인에게도 어렵지 않고 친숙한 공식이라고 평가했다. 엄상일 KAIST 수학과 교수는 e, π, i 가 아름답게 엮인 오일러의 공식(eπi +1=0)을 최고의 식으로 뽑았다. 전문가의 색다른 선택은?여러 이론을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페이지와 우터스는 이 경우에 입자들에서 변화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수식
으로 보였다. 휠러-드윗 방정식이 암시한 것처럼,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는 말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우주 안의 관찰자가 얽힌 입자들의 상태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내부의 관찰자는 얽혀 있는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이론’에서 한 장(章)을 할애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은 이타성의 진화를 정교한
수식
모델로써 본격적으로 탐구하지는 않았다. 혁명은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에서 혼자 피셔의 책을 붙잡고 씨름하던 학부생 해밀턴의 몫이었다 ... ...
[수학뉴스] 뱀의 움직임에도 수학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리고 주변에 전달하는 힘의 양을 측정해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지요.연구팀은
수식
과 데이터를 넣으면 시각적으로 나타내 주는 수학 소프트웨어인 ‘매스메티카’를 이용해 이 수학 모형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이제껏 뱀의 움직임을 수학 모형으로 재현한 적은 많았습니다. 이에 대해 디시몬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한다. 예를 들어 13과 25는 12로 나누었을 때 모두 나머지가 1이어서 12에 대해 합동이다.
수식
으로는 13≡25(mod 12)이다.폰 노이만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이 알고리즘에도 씨앗이 필요하다. 씨앗에 따라 알고리즘이 만들어 내는 숫자의 주기가 달라진다. 주기는 무작위로 나열되는 숫자의 개수가 얼마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