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화"(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십 수 년 전, 성체줄기세포를 연구하던 과학자들은 당황했다.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재생시키려고 동물의 몸 안에 줄기세포를 넣었는데, 하라는 분화는 안 하 ... 줄기세포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 ...
- Intro. 21세기 시시포스의 도전 줄기세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2004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체세포복제를 통해 줄기세포를 만들어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당장 치매 환자가 정신을 차리고, 하반신마비 환자가 뛰어다니고, 동물에서 ...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용어부터 정리하고 넘어가자. 시중에 ‘줄기세포 치료’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은 크게 세 가지다. 성체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 줄기세포, 성형·미용 줄기세포다. 이 세 ...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전보다 적지만, 높이가 2000m 이상인 대형이다. 바다를 뚫고 거대화산이 여러 차례 분화하면서 화산의 높이를 높였다. 이 당시에는 울릉도, 독도뿐 아니라 안용복해산, 이사부해산, 심흥택 평정해산 등이 열도를 형성했을 것이다.독도는 수면 위에 노출됐던 화산체 최상부가 대부분 파도에 깎이고 ... ...
- 유전자는 몰라~ 네안데르탈인 덩치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일어나면 그 유전자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고 꺼지는데, 이를 통해 세포는 다른 세포로 분화해 신체나 세포의 특성을 바꾼다.연구팀은 3만 년 전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유골의 게놈에서 메틸화 스위치를 조사했다. 그 결과,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팔다리의 발생에 중요한 유전자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발견됐다. 암줄기세포는 줄기세포처럼 자기복제능 력을 가지면서 어떤 종류의 암으로도 분화할 수 있다. 발현되기 전에는 잠자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 항암제에는 소멸되지 않는다.익스트리미스는 전신을 암줄기세포로 만들고, 세포 핵에 있는 혹스 유전자를 조작하는 약이 아닐까 추측 ...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가장 최근의 분화는 5000년 이내에 있었다.보통 활발하게 분화하고 있으면 활화산, 역사에 분화 기록이 있으면 휴화산, 아무런 기록이 없으면 사화산이라고 말한다.하지만 지질학계는 이렇게 구분하지 않는다. 1만 년 내의 현세에 지질학적 화산 활동 기록이 있다면 ‘살아있는(생·live) 화산’으로,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막을 뚫고 나왔으면 수술해야 한다. 이보다 작더라도 키큰세포, 섬모양세포, 수질암, 미분화암 등은 즉시 수술해야 한다. 그리고 갑상샘암을 일찍 발견한 경우 운이 좋으면 반만 제거해도 된다. 갑상샘은 나비가 날개를 활짝 펼친 모양인데, 날개 한쪽에만 암이 퍼졌다면 나머지 한쪽은 그대로 놔둬도 ...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체세포를 약산성 용액에 담가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가능한 세포, 일명 ‘스탭(STAP·자극촉발만능)세포’를 확립했다는 ‘네이처’의 두 논문이 철회될 위기에 처했다. 논문의 주저자인 오보카타 하루코 일본이화학연구소(이하 리켄) 연구주임은 3월 14일 리켄의 중간조사 발표장에 모습을 ... ...
- [hot science] 울퉁불퉁 지방으로 만든 가짜 식스팩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유지된다. 사라진 지방세포는 다시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세포는 어릴 때 활발히 분화하다가 여자는 16세, 남자는 18세 정도에 멈춘다. 그 때 가지고 있는 지방세포 수가 평생을 간다. 다만 세포의 크기가 커질 뿐이다. 지방흡입술을 받았다면 그 만큼 지방세포 수가 줄어든 셈이다.하지만 언제든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