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해하고 따라잡기 위해 과학자들은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고리 모양의 틀에서
배양
한 뉴런의 모습. 뉴런의 활동과 핵의 모습을 합성한 사진이다.]오늘날의 컴퓨터는 성능이 막강하다. 계산 능력만큼은 사람의 뇌가 도저히 따라갈 수 없을 정도다. 현재 성능이 가장 뛰어난 슈퍼컴퓨터는 일본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한 칩 안에 구현한 실험장치다. 서 교수팀은 지난 수년 동안 나노패턴 위에서 심장세포를
배양
해 마치 심장처럼 동조해 뛰게 만드는 데 성공했고(2009년) 다공성 물질 위에 신장세포를 키워 세포가 실제 신장의 환경처럼 인식하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2010년).“조직공학의 역사가 100년이 넘었지만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푸히르 교수가 공개한 10회에 걸친 계대
배양
방식을 재현하는 것만으로도 변종 H5N1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적지만 존재한다”고 말했다. 실험실에서 유출된다면 어떻게 되나두 실험실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변종 H5N1 바이러스가 실험실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직접 넣고 DNA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만드는 유전자를 넣는 것이다.수지상세포(DC)를
배양
해 암세포(항원)와 함께 넣는 방법도 있다. 수지상 세포(DC)는 암세포(항원)를 세포 안으로 잡아들인 뒤 항원 펩타이드를 세포독성T세포에게 내 보인다. 이를 통해 세포독성T세포는 항원을 인지하고 암세포를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선별하기 위해 테트라사이클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같이 들어있는 배지에 대장균을
배양
했다. 재조합 플라스미드만이 두 항생제 각각에 대한 저항 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의 예상대로 이 배지에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는 대장균만이 자라 선별됐다. 이는 재조합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감염됐는지 확인하는데, 이 과정이 쉽지 않다. 환자에게서 병원체를 뽑아내 시험관에서
배양
한 뒤 진단을 내리는데, 3일에서 길게는 몇 주가 걸리기도 한다. 변종 바이러스에 의해 급격하게 전파되는 경우라도 생기면 수많은 사람의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다.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병을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신선한 야채를 맛볼 수 있었다. 아직 가축을 기를 여건이 안 돼 고기는 근육세포를
배양
해 만들지만, 야채만큼은 우리가 직접 수경 재배해 기른 것이다.나는 화성기지의 대장으로서 신규 대원에게 화성의 삶을 간단히 소개했다. 아직은 다들 피곤하고 긴장한 표정이었다. 우리가 쓰는 날짜와 시간을 ... ...
배양
고기, 지구를 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숲으로 바꾼다면
배양
고기의 탄소 발자국은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해요.연구팀은
배양
고기가 인류의 식량난과 에너지, 물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답니다 ... ...
땅 속 희유금속, 식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만드는 것도 있습니다.”중금속을 흡착하거나 고체화 또는 환원시키는 미생물을 찾아서
배양
하고 토양에 넣으면 중금속 오염지역을 친환경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응용지구화학분야를 전공하려면21세기 산업은 정보통신을 비롯한 첨단 IT산업과 친환경 사업 분야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희유금속은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연구 논문으로 발표했다. 세포지지체는 손상된 장기나 기능을 잃은 피부 등의 세포를
배양
해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연구팀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긴 섬유 형태로 제작한 뒤, 뜨개질 기법을 이용해 다양한 3차원 세포지지체를 만들어 냈다. 첨단 과학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뜨개질이 의학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