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d라이브러리
"
미터
"(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먼지, 이렇게 생기는 거였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것으로 분석했다. 황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현상으로 초신성 주변 수십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우주먼지 알갱이의 생성 비밀을 풀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천체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50-019-0763-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몸무게가 적정한 지 판단할 때는 체질량지수(BMI·Body-mass index)를 계산한다. 체질량지수는
미터
(m)와 킬로그램(kg)을 단위로 키(H)와 몸무게(M)를 각각 구하고,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눠 얻는다(BMI=M/H2). 여러 사람의 체질량지수로 확률분포를 구해보면 종 모양의 정규분포가 얻어진다. 정규분포는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스스로 학습하는 기능을 갖췄다. 총 13만 개의 뉴런과 1억3000만 개 시냅스를 14나노
미터
(nm·1nm는 10억분의 1m) 선폭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 중 집적도가 가장 높다.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가 2016년부터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유기물질인 ‘강유전체(ferroelectrics)’를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끝에서 접지전극을 향해 은 입자를 쏘면 아주 얇은 실이 만들어집니다. 지름 1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길이 수m에 이르는 ‘은나노섬유’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은나노섬유로 그물 구조를 만들면 기존의 ITO 이상으로 전도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투명하고 스트레처블한 전극을 얻을 수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3D프린터로 인쇄한 뒤 이를 다듬어 깎아내기 위한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 작업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2011년 개발한 멕센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고기를 매우 얇게 잘라 내듯 리튬이온이 출입하는 전극 활물질 층을 1~100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두께로 잘라 배터리 내부의 물리적 변화를 자세히 확인하는 것이다. 이 교수는 “아파트 한 층에 여러 가구가 사는 것처럼 전극 활물질 한 층에도 리튬이온이 자리 잡는 공간이 여러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공간에서 검출된 적은 없었다. 이 분자를 확인하려면 우주 공간에 흩어진 149.1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길이의 파장을 감지해야 했다.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 중인 성층권적외선천문대(SOFIA)에 탑재된 고해상도 분광계의 자료를 분석해 성운 NGC7027의 끝자락에 존재하는 ... ...
4억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영국 헤리퍼드셔주 라거슈타트에서 찾은 극피동물 13점의 화석 단면을 3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간격으로 잘라서 촬영해 3차원 모델로 구현한 뒤 구조를 살폈다. 연구팀은 그 중 촉수가 발견된 화석에 솔라시나 크툴루(Sollasina cthulhu)라는 이름을 붙였다. 크툴루는 미국 SF소설 ‘크툴루의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며 응집하는 성질을 가진 ‘지질 중간상’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지질 중간상을 물에 섞으면 극저온에서도 물이 얼음 결정을 형성하지 못했다.연구팀은 물과 ... ...
'캡틴마블'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캡틴 마블의 포톤 블라스트는 눈에 보이므로 빛의 파장을 가시광선 대역인 5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라고 가정하면, 그 결과는 1.325×10-27m·kg/s가 된다. 따라서 60kg·m/s만큼의 충격량을 가하려면 광자가 4.53×1028개 필요하다. 4.53×1028개의 광자는 과연 어느 정도의 수준의 위력일까. 1초 동안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