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자
체내기관
내포
내복
포함
함축
뱃속
d라이브러리
"
내장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생체전자공학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뼈 생성을 자극하는 전기시스템이
내장
된 임플란트 시술 등에도 생체전자공학기술이 사용되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생체전자공학을 배우는 학과로는 전자공학과, 의용전자공학과, 의공학과 등이 있다. 생체전자공학 연구실이 있는 국내 대학으로는 ... ...
고해상도 웹 카메라 ‘스트로베리-티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재밌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다. 한 예로 얼굴인식기능을
내장
해 스티커사진을 찍을 때처럼 선글라스나 가면 등으로 얼굴을 꾸밀 수 있다. 휴대하기 편리한 스트로베리-티니로 친구와 화상채팅을 하며 따분한 일상에 활력을 불어 넣어 보는 건 어떨까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당연히 이는 사실이 아니다. 게는 배가 작게 퇴화해 머리가슴 아래쪽에 접혀 있어 마치
내장
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작은 배 속에도 분명히 항문으로 연결된 소화관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입과 연결된 대부분의 소화기관이 배 대신 머리가슴 속에 들어 있으므로 창자가 없다는 말은 맞지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인공근육을 개발하고자 한다. 스스로 움직이며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 심장근이나
내장
근과 달리, 골격근은 대뇌가 내리는 명령에 따라 즉시 수축과 이완을 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다른 근육에 비해 동작이나 자세가 다양하다. 이렇게 골격근이 자유롭게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낙지 대신 넣고 볶을 수도 있고, 해물탕에 넣어 먹기도 한다. 쫄깃한 육질에 먹물과
내장
이 뒤섞인 절묘한 풍미를 즐기며 뱃속을 가득 채운 하얀 쌀밥 같은 알을 씹노라면 봄 주꾸미란 말에 다시 한 번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문어랑 낙지랑 어떻게 다른가 주꾸미는 팔완목 문어과에 속하는 ... ...
진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민트패드’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편리함을 담는다’라는 취지처럼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설계도 눈에 띈다. 중력센서를
내장
한 민트패드는 메모를 한 뒤 별도의 저장버튼을 누르지 않고 살짝 흔들기만 해도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뷰어로 ‘전자북’을 읽다가 민트패드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텍스트가 반대 방향으로 ... ...
도시를 통째로 옮겨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리벳을 이용(건식공법)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고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내장
재와 부품을 해체할 수 있다. 건물을 수리하거나 낡은 부분을 고치기 쉬운 이유다.사실 유닛모듈라 주택은 우리에게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우리 선조들이 살던 전통 가옥인 한옥은 기둥이나 보, 바닥재를 ... ...
[해양학]바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어류 배설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경골어가 탄산칼슘 전체량의 3~15%를 생산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탄산칼슘은 경골어
내장
속에서 결정 형태로 있다가 가루 형태로 배설된다. 윌슨 박사는 “탄산칼슘은 해양 산성도를 조절해 해양 생태계와 산호초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며 “환경오염으로 기후가 변하는 미래에는 경골어를 ... ...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3pg-TEQ다.물론 다이옥신의 섭취를 줄이는 게 상책이다. 전문가들은 고기를 먹을 때 생선
내장
이나 아가미, 돼지비계, 쇠기름, 닭껍질처럼 지방이 많은 부분을 피하라고 권한다. 다이옥신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식약청 오금순 연구관은 “아일랜드 돼지고기는 오염된 사료 때문에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디스플레이 전문가’라며 큰 관심을 나타냈다. 당시 그의 손에는 80MB짜리 하드디스크가
내장
된 386 SX 컴퓨터가 들려 있었다. 운영체제는 윈도우 3.1. 지금 기준에서야 구식 컴퓨터지만 당시로선 최고급 사양이었다.1996년 5월 13일자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실린 논문은 그가 한국 LCD 연구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