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좁아 화면을 읽어내는 데 느끼는 어려움은 더 커진다. 두 번째 난관 │고객을 돕지 않는 기계익숙하지 않은 주문 절차도 고령층이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유승헌 고려대 디자인조형학부 교수는 “키오스크 사용에 익숙한 사람들은 느끼지 못하겠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 ...
- [커리어] 교수님과 선배가 들려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저자인 임창환, 최성용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와 이소현 이화여대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학부생이 함께했다.온라인 진로 콘서트에 앞서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바이오메디컬공학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물었다. 가장 많은 질문은 “바이오메디컬공학은 정확히 무엇을 공부하는 학과인가요 ... ...
- [특집] 후후 불어서 펑! 터질 때까지 비눗방울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안녕! 나는 비눗방울을 좋아하는 ‘무지개굴’이야. 이름처럼 무지개빛 비눗방울을 만들며 노는 걸 즐기지. 그런데 말야, 과학자들도 나처럼 비눗방울 놀이를 즐긴다는 거 알아? 비눗방울 탄생부터 죽음까지 모든 과정에 ‘진심’인 과학자들의 이야기, 지금부터 들려줄게! ▼이어지는 기사를 ... ...
- [멍냥과학] 강아지는 모국어와 외국어를 구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뇌의 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MRI 기계 안에서 차분히 있도록 훈련받았습니다.연구팀은 MRI 기계에 들어간 반려견들에게 의 한 구절을 한 번은 스페인어로, 한 번은 헝가리어로 들려주었습니다. 이어서 스페인어와 헝가리어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단어가 뒤섞인 무의미한 음성도 들려주었죠.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7장. 컴퓨터의 탄생수학동아 l2022년 07호
- 푸는 프로그램은 논리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을 보였습니다. 모든 명제가 증명 가능한지 기계적으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프로그램 P(x)는 정상적으로 종료한다’라는 명제 역시 P(x)가 정상적으로 종료하는지 판별할 수 있는데요. 정지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은 수학이 결정 가능성을 ... ...
- [과학뉴스] “너 지금 삐딱하게 앉았지?” 경고해주는 옷 개발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의식적으로 자세에 신경을 기울이기란 쉽지 않다. 삐딱하게 앉을 때마다 경고해주는 기계가 있다면 어떨까. 중국과학원 베이징 나노에너지 및 나노시스템연구소 연구팀은 나노 마찰전기 발전 기술을 적용해 착용자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조끼를 개발했다. doi: 10.1007/s12274-022-4409-0 연구팀의 ... ...
- [가상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 게’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저를 원격 제어할 수 있어서 저는 작은 공간에서도 움직일 수 있어요. 작은 구조의 기계를 수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죠. 또 사람 몸에 들어가서 동맥을 청소하며 내부 출혈을 멈출 수도 있어요. 암 종양을 제거하는 외과의를 보조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어요. 여러모로 저에게 거는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지난 2월 22일 오후 2시, 서강대학교 R관 바이오계면연구소로 4명의 어과동 기자단이 출동했어요. 신관우 교수님의 초청을 받아 ‘켐봇(로봇팔) ... 있었습니다. 최초로 공개되는 화학 실험실 로봇팔이라 감동이었습니다. 교수님 외에도 기계공학을 전공하신 선생님들도 함께해 더 뜻깊었어요 ... ...
- [특집] 파피, 종이의 세계로 떨어지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내 이름은 파피. 미래의 로봇 과학자를 꿈꾸는 5학년 학생이지. 가장 좋아하는 과목은 과학과 수학, 가장 자신 없는 과목은미술. 완전 지루하잖아! 그런데 오늘은 미술관 현장학습이라니. 게다가 종이접기 전시?! 윽.난 선생님 몰래 숨을 공간을 찾아냈어. 로봇 영상이나 ... ...
- [특집] 게임도 과학입니다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이런 AI를 게임 캐릭터나 스토리에 적용하면, 더 실감 나는 게임이 된다. 이때 유한상태기계(FSM) 알고리즘이 흔히 쓰인다. FSM은 게임 속 캐릭터의 현재 상태에 따라 외부에 대응하는 방식이 달라지는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엔 몇 가지 경우의 수가 미리 정해져 있어서 다음 행동을 쉽게 예측할 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