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d라이브러리
"
감염
"(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전염의 원리와 사회 현상을 풀어보자!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 ‘
감염
재생산지수’를 낮춰야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곤 합니다.
감염
재생산지수를 구성하는 요소를 따지다 보면, 전염병 전파가 어떻게 진행될지 추측해볼 수 있기 때문이죠.그런데 전염병 분석은 주식 매수 시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홍보의 파급력 등을 분석하는 것과 ... ...
[한페이지 뉴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2월 말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이용해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하기로 같은 달 15일 결정했다. 대상은 전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5873곳의 입소자와 종사자 중 만 65세 미만인 27만 2131명이다. 당초 계획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내 만 65세 이상 고령층(37만 67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한국에서 큰 혁신을 거두지 못한 온라인 공개수업(MOOC)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얻기도 했습니다. 허준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저서 ‘대학의 과거와 미래’에서 “2013년과 2014년 국내외 주요대학들이 MOOC에 대한 환상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며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액을 주입한 뒤 이버멕틴과 같은 구충제를 주사하면 회복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감염
초기에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야생동물은 포식자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자신의 약점을 쉬이 드러내지 않는다.그래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중요하다. 발견자 중에서는 너구리의 흉한 몰골에 겁먹고 ...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기존 조립식 병동과 달리 부피와 무게도 70% 이상 줄인 상태로 군수품처럼 보관해뒀다가
감염
병이 재유행할 때 설치할 수 있어요. 설치 비용도 5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답니다.연구팀은 이동형 음압병동이 상용화되면 현재 문제가 되는 음압병실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거라 기대하고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월 초 항구에 도착했을 때 우리를 기다리는 건 환영인파가 아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이었다. 공항이 폐쇄됐고, 탐험대원을 실어나를 선박과 연료도 더이상 공급되지 않았다. 폴라스턴호에서 탐험 중이던 대원들은 예정보다 몇 주 또는 몇 달을 북극 바다 위에서 더 머물러야 했다.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디디지 못한다며 할머니가 병원으로 달려오셨다. 올무에 걸렸는지 오른쪽 앞다리는
감염
이 심하게 일어났고 악취가 진동했다. 괴사도 진행되고 있었다. 절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나는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열심히 설명했다. 할머니는 앞발 모아 하는 인사를 다시는 못 본다며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일으키는 물질인 항원에 반응해 항체를 만들어요. 항체 치료제는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에
감염
된 몸속에서 만들어진 항체를 따로 분리해서 치료제로 사용하는 거죠.SAb바이오테라퓨틱스는 인간의 항체를 만들 수 있는 유전자 조작 소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주입했어요. 이 바이러스는 활성화되지 ... ...
에디터토크 2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제 꿈에 저들이 멋대로 출연한 거예요. (뭐래) 1.편집장(이하 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 관련 등교 논란 기사가 ‘이지 사이언스’ 섹션에 실렸다. 어떤 섹션인가.김소연 기자: 논란이 되는 과학 주제를 평이한 언어로 상냥하게 풀어주는 새로운 섹션. 근데 나 황새 보러 다녀왔다.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계산하는 컴퓨터 모델에 적용했어요. 그 결과, 이 지역 양서류가 항아리곰팡이균에
감염
돼 75%가 사라졌고, 이를 주 먹이로 삼던 열대 뱀의 종 수도 30종에서 21종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종 다양성뿐 아니라 개체 수도 줄었어요. 현장 조사를 하면 5회 이상 나타나던 뱀 17종 중 9종의 출현하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