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4기의 위성 중에서 3호기 다솔이 가장 잘 작동했고, 그래서 가장 많은 시험을 하며 오랜 시간을 함께 했기 때문입니다. 연구원들이 “사출이 안됐다는 공식적인 발표가 났지만 다솔이 그래도 우주 어딘가에 있을 것 같다”고 입을 모아 말하는 이유입니다. 다솔은 없지만, 남은 도요샛들은 새로운 ... ...
- [가상 인터뷰]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 변온동물에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3%에서 16% 사이로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지. 기후변화가 심화할수록 변온동물은 같은 시간 동안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한다는 뜻이야. 연구를 이끈 레슬리 알튼 연구원은 “기후변화가 어떻게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것인지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고 강조했어 ... ...
- [가상인터뷰] 갈매기가 새우깡 낚아채는 비결? '눈치’과학동아 l2023년 07호
- doi: 10.1098/rsbl.2023.0035 Q 재갈매기 선생님, 뭘 그렇게 보고 계시나요? 지금 아주 중요한 순간이에요. 저기 모래사장 위에 봉지가 두 개 놓여있단 말이죠. 초록색이랑 파란색이요. 뭔가 맛있는 게 들어있을 것 같은데, 어떤 색 봉지를 고를지 고민 중입니다. 가만, 저 사람이 파란 봉지를 들고 있잖아? ... ...
- 울퉁불퉁 지문에겐 다 계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와 코알라 등 일부 동물만 갖고 있습니다. 지문의 역할에 대해 그간 마찰력을 조절하거나 수분 조절에 도움을 준다는 등의 많은 논의가 있어 왔지요. 지문은 과연 왜 있는 걸까요? 손끝의 배수로가 되어주는 지문' 2021년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박건식 교수팀은 지문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나 귀엽냐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추정되는 할루키게니아가 구체적으로 어떤 생김새를 지녔을지, 뭘 먹고 살았을지 수십 년간 과학자들의 추리와 논쟁이 이어졌는데요. 현존하는 생물 중 할루키게니아와 가장 비슷한 종은 무엇일까요? 디.에스 영상으로 보기 http://m.site.naver.com/1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사라지거나 느려진다! 구슬 마술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달팽이 공이 훨씬 느리게 내려가지요. 이유가 뭘까요? 공 안에 쇠구슬이 들어가는 순간, 공의 무게중심은 쇠구슬쪽으로 쏠리게 됩니다. 그런데 끈적끈적한 꿀 때문에 쇠구슬은 공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아래쪽에 머물게 돼요. 달팽이 공이 굴러 내려가기 시작하면 쇠구슬도 빗면을 따라 ...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또는 고체로만 존재하며, 대기 농도가 지구의 1%인 그야말로 극한 환경이다. 화성에서 인간이 살 수 있게 하려면 지구처럼 다양한 생물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 우선 한 발짝씩 떼 보기로 했다. 상추는 재배하기 쉽지만 화성의 험한 환경에서 자라기엔 ... ...
- [연구실은 미니멀리즘 그 자체] 공책, 다면체 모형, 그리고 모래시계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허 교수가 집 다음으로 가장 오래 머무는 공간인 연구실은 생각보다 단출했어요. 당장이라도 짐을 싸서 떠날 수 있을 정도로 딱 필요한 물건만 둔 듯한 느낌이었습 ... 청소라도 하면 시간을 유용하게 쓰는 것 같다”라고 말하는 허 교수에게서 인간적인 면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었습니다 ...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상식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쉽게 가늠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교과서 너머의 알려지지 않은 지구 구조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러려면 장내미생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급선무입니다. 장내미생물 구성은 인간의 유전자, 사는 곳, 나이, 식습관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즉 유의미한 결과를 얻으려면 인구 집단에서 다수의 표본을 뽑아 각 개인의 의료 정보, 식습관 정보와 장내미생물 정보를 연계 분석해야 합니다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