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09
수 있다. 과부하 훈련이란 부상을 당하지 않을 만큼 훈련의 강도를 점점 높여가며 신체의
한계
를 극복하는 방식이다. 이상화 선수가 평소에 남자선수와 같이 운동을 한 것이 한 예다. 100m 선수들에게 알맞은 과부하 훈련은 400m 전력질주다. 400m를 뛰게 되면 몸 안의 무산소 시스템을 고갈될 때까지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09
가속하기 위해서는 더 강한 전기장을 걸어주면 되지만 가속관이 금속이기 때문에
한계
가 있다. 전기장 세기가 100MV/m보다 강해지면 금속관 내부에서 전기방전이 발생하면서 하전입자를 더 이상 가속시킬 수 없게 된다. 가속되는 입자의 에너지는 전기장의 세기와 가속 거리의 곱에 비례한다. 즉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408
아빌라 교수의 업적은 물리학과 관계가 깊다. 물리 실험을 하다 보면 측정 장비의
한계
로 계산 값이 무한대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무한대가 나오지 않도록 값을 바꾸는 방법을 ‘재규격화’라고 하는데, 그의 연구는 동역학계에서 재규격화 연산자와 관련이 있다.★에르고딕 이론은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08
방식에 비해서는 떨어진다. 이온트랩이나 초전도 방식에 비해 반도체 방식에는 근본적인
한계
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반도체 분야는 혁신으로 단련된 분야다. 새로운 기술이 나와 판도를 바꿀 가능성을 무시하기 힘들다. 서울시립대 정보기술관 지하에 마련된 안 교수의 실험실에서는,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08
반경을 고려해 알고리듬을 짜야 한다. 1990년 대 중반부터 로봇공학자들은 이런 물리적
한계
를 고려 한 ‘포메이션 제어기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자연계의 군집행동을 로봇에 특화한 알고리듬인 셈이다.리더가 고장나면 나머지 로봇은 어떡하지?.최초의 포메이션 제어기법은 1998년 미국 ... ...
‘깜지’ ‘빽빽이’ 성적에 도움 안돼
과학동아
l
201408
매번 다른 기억이 떠올라 원래의 기억이 왜곡될 수 있다.야싸 교수는 “반복학습에는
한계
가 있다”며 “반복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다른 방법을 보완하면 학습효율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8
집에서 쓰는 간이 빙수 기계로는 턱도 없다. 와드득 씹히는 얼음 가루를 만드는 것이
한계
다. 설령 곱게 갈았다고 하더라도 입안에서 ‘사르르’ 녹지 않는다.눈꽃 빙수의 비밀은 ‘우유 얼음’에 있다. 순수한 물과 다르게 우유는 콜로이드성 액체다. 우유는 물에 영양 분자들이 섞여있는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
과학동아
l
201408
필봇은 둥글게 말 아서 멀리 던져 보낼 수 있습니다. 소형로봇이 먼 거리를 가지 못하는
한계
를 극복한 거죠.”박 연구원이 그간 촬영해둔 영상을 모니터에 띄웠다. 한쪽에는 실제 공벌레가 몸을 말았다가 펴는 모습이, 반대쪽에는 연구팀이 개발한 필봇이 나오고 있었다. 움 직이는 모습이 정말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08
가문비나무는 점점 띄엄띄엄 흩어졌다. 현장에는 가문비나무가 거의 없었다. 수목의 북방
한계
선에 도달한 것이다.기자와 동행한 이은주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카운실 지역은 북방침엽수림(타이가) 지역과 툰드라 지대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지구온난화의 가속도가 가장 빠른 곳”이라고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07
맬턴 교수의 선구적인 연구로 직접교차분화의 가능성은 증명됐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한계
가 분명했다. 배아는 세 개의 줄기(외배엽, 내배엽, 중배엽)로 나눠져 본격적인 발생을 하게 되는데, 각 배엽에 속한 세포는 다른 배엽의 세포로 운명이 바뀔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이다.변화는 엉뚱한 곳에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