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기
초엽
d라이브러리
"
초창기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컴퓨터도 성능보다 편리성 중시
과학동아
l
199503
마우스 등으로 구성돼 있다. 본체에는 대개 디스켓을 넣을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초창기
의 컴퓨터에는 이 구멍에 디스켓을 넣고 빠져 나오지 않도록 돌려서 잠그는 장치가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켓을 넣고 잠그는 두가지 동작을 해야 디스켓을 사용할 수 있었다.두 동작은 한 동작에 비해 ... ...
1 "21C 산업의 꽃" 선진국 앞다퉈 대규모 투자
과학동아
l
199501
있는 길을 열었다.로봇 기술의 발달에 따라 로봇이 적용되는 분야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초창기
제조업 분야에서 인간의 단순 작업을 대신하는 로봇은 이제 국민 복지 차원에서의 적용까지 고려되고 있는 형편이다.우리나라가 선진국 진입과 함께 인구의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대부분의 사람이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11
그 편리함을 구가하기 위해 넘어야 할 장벽도 적지 않은 것이 현실.현대 컴퓨터 역사의
초창기
위대한 이론가로 불리는 알랜 튜링(사실은 수학자)의 목표는 인간 두뇌처럼 움직이는,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컴퓨터가 20세기 기술 혁명을 이끌어 온 것으로 평가되는 현실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09
필요한 자료 수집은 루나(Lunar)계획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1958년부터 시작된 이 계획은
초창기
에 많은 실패를 거듭했다. 그러다가 1959년 루나 3호가 달 뒷면 촬영에 처음 성공했다. 그러나 그 뒤에도 실패는 계속되었다. 하지만 성공은 또다시 찾아왔다. 1966년에 발사된 루나 9호가 달에 사뿐히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09
케텔(현재 이름은 하이텔)이라는 정보통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다.
초창기
의 붐을 일으키기 위해 케텔은 1200bps 모뎀을 5백대 한정으로 무료로 제공했다. 신청만 하면 모뎀과 통신 에뮬레이터를 무료로 나눠주는 바람에 불과 몇 개월 사이에 수천명의 가입자가 몰려들었다 ... ...
PART3 알뜰 구입 작전
과학동아
l
199408
미치는 프린터 구입. 후회않을 선택을 위해 미리 챙겨야할 부분을 알아본다.PC 보급
초창기
에는 PC 사용법에 익숙해진 다음 프린터를 별도로 장만하는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요즘은 컴퓨터와 함께 프린터를 구입하려는 경향이다. 문제는 본체의 사양을 어떻게 정하고 구입하는가 하는 고민보다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06
마찬가지다. 해방후 일본에 대해, 동란 후 소련과 중국에 대해 증오를 불태우며
초창기
의 대통령들은 과학기술로 자존심 회복을 시도했다. 이승만 대통령에게 있어서 원자력은 민족에게 8.15해방을 선물한 고마운 존재였다. 또 한국전쟁 때 "이것 한 방이면 한반도를 통일할 수 있다"는 맥아더의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4
안정적인 수입을 올리며 대중화에도 성공한다는 시나리오다. 아직은 PDA자체의 개발이
초창기
라 이러한 경제학이 적용된 예는 없지만 무척 재미있는 얘기가 아닐 수 없다. PDA는 컴퓨터가 아니다PDA가 미래의 주역이라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더이상 PDA는 컴퓨터가 아니다. 그렇다고 전화도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03
조금 개량한 R-2 로켓을 중국에 제공했고, 미국은 로켓개발인력을 제공했다. 미국에서
초창기
로켓 개발에 참여했고 후에 독일에서 미국으로 V-2 로켓기술을 가져올 때 책임자로 있었던 전학삼박사가 중국 로켓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전학삼 박사가 주축이 된 중국은 1960년경에 V-2 로켓과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골치덩어리였지만 이제는 인간의 수중에 들어왔다. 혼돈제어 연구는 아직 5년이 안된
초창기
이지만 희망적인 출발이라 아니할 수 없다.미국의 혼돈제어 연구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분야는 난류이다. 예컨대 다랑어는 같은 크기와 성능을 가진 수중장치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빨리 나아갈 수 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