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튿날
다음날
양일간
d라이브러리
"
이틀
"(으)로 총 44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01
불포화도가 클수록 더 불안정해 쉽게 변질돼 냄새가 난다. 생선이 냉장고에서 하루나
이틀
지나면 왜 비린내가 나는지 궁금한 적이 있을 것이다. 바로 생선 속에 많이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이 산화돼 나는 냄새다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12
건강한 집고양이와 페럿 각각 2마리를 감염된 녀석들의 우리에 넣어 함께 지내도록 했다.
이틀
이 지나자 이들의 몸속에서도 바이러스가 본격적으로 증식하기 시작했다. 즉 사스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다. 이 경우도 고양이 2마리는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페럿은 시름시름 앓다가 한 마리는 1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김용관이 찰스 다윈의 사망일을 기념해 4월 19일을 ‘과학데이’로 정한 적이 있다. 불과
이틀
차이지만 결코 작은 차이로 느껴지지 않는다.또 우리의 과학사를 세계 속에서 바라보는 큰 안목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알리고 싶다. 한국 역사는 특히 19세기 이후는 세계사의 한 부분일 수밖에 없다. ... ...
눈의 천적 자외선
과학동아
l
200311
보이기도 한다. 자외선으로 인해 각막에 염증이 생겼기 때문이다. 각막염은 하루나
이틀
정도면 합병증 없이 치료된다. 각막을 통과한 자외선이 망막을 손상시키면 광선 망막증이 생긴다. 이때는 사물의 모양이 변형돼 보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보이지 않는 암점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실명할 ... ...
고등학생 영어로 물리난제풀이 경합
과학동아
l
200309
순발력, 팀의 조직력, 영어 표현능력, 발표와 논쟁에서의 태도 등에 의해 결정됐다.
이틀
에 걸쳐 진행된 예선전 결과, 종합점수 순위에 따라 인천과학고 1위, 경기과학고 2위, 부산영재학교 B팀 3위, 부산영재학교 A팀 4위로 결승전에 진출했다.국제대회 규정에 따라, 예선 결과가 발표된 후 결승전 ... ...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 등장 40주년
과학동아
l
200306
말았다.한편 미국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는 테레시코바가 우주로 떠난지 20년하고
이틀
후인 1983년 6월 18일에야 탄생했다. 샐리 라이드라는 이름의 이 우주비행사는 테레시코바와 달리 단순한 승무원이었다. 우주선을 조정하는 진정한 여성 우주비행사가 탄생하는데는 다시 그로부터 12년이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05
치올코프스키를 ‘우주항해학(astronautics)의 아버지’로 칭송했다.79세 생일을 맞은지
이틀
후인 1936년 9월 19일 밤 10시가 조금 지난 때 치올코프스키는 창문 너머로 그의 평생에 걸친 도전의 대상이자 영감을 주었던 반짝이는 별과 행성을 지켜보면서 죽어갔다. 옛소련 정부는 그가 살던 집을 ... ...
2 살상력 못지 않은 환경재앙 유발
과학동아
l
200304
그 후에도 뾰족한 소화 대책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이번 전쟁에서도 개전한지
이틀
만에 수십곳의 유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외신보도가 흘러나오고 있어 심각히 우려되고 있다.유정에서 발생한 매연들은 뜨거운 열로 인해 주변 공간에 상승기류를 발생시켜 거대한 구름기둥을 형성한다. ... ...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03
같은 해 2월 우주미아가 된 2대의 통신위성을 회수, 지구로 귀환시키는 임무가 부여됐다.
이틀
에 걸쳐 2명의 우주비행사가 교대로 수행한 이 구출임무는 MMU의 뛰어난 성능에 힘입어 완벽하게 진행됐다. 지구로 회수된 통신위성은 완벽하게 수리돼 이 중 한대가 1990년 중국 로켓에 의해 다시 우주로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03
황 교수팀에서도 유전자를 바꾼 복제돼지 한 마리가 처음 태어났다. 그러나 이 돼지도
이틀
만에 죽고 말았다.다행히 김 교수팀에서 또다시 복제돼지 6마리가 태어났다. 이중 1마리는 죽었지만 현재 5마리는 잘 자라고 있다. 황 교수팀에서도 복제돼지가 계속 태어나고 있다. 그러나 황 교수팀에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