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동물이 거울 속 자신을 공격한다고? No!과학동아 l201411
- 거울 앞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했다. 시클리드 종은 상대를 위협할 때 몸 오른쪽을 상대에게 보여주기 때문에 대치할 때 한쪽 머리와 상대 꼬리가 맞닿는 구도가 된다. 연구팀은 만약 물고기가 거울을 보고 공격성이 발동한다면, 이런 구도를 만들어 위협하기 위해 몸을 계속 뒤척일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11
- 마사이족이 입었던 고유의 옷 냄새를 맡았을 때 폭력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도망쳤다(오른쪽 위). 사냥하는 부족 농사짓는 부족, 냄새로 구별한다연구팀은 다양한 행동 실험을 통해 아프리카코끼리가 마사이족의 빨간옷과 고유의 사냥 자세를 구별할 줄 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이게 다가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11
- 선임연구원(➊오른쪽 첫 번째)과 오창진 디자인연구센터 수석선임연구원(➋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각각 입체자성필름과 스마트기기 인식용 보안패턴을 선보이고 있다.]“스마트폰 카메라에 ‘기스’ 내 볼까?”이 기술은 간단하지만 아이디어가 기발하다는 호평을 받았다. 과연 이렇게 참신한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11
- 피하기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슬라이드를 이용해 기사를 상하로 움직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용을 피하는 게임입니다. 용과 기사가 부딪치면 ‘으아아아!’라는 메시지와 함께 게임이 종료됩니다.2Team 상어를 피하라! -권나영, 김동욱, 김성훈상어와 물고기를 직접 그려서 게임을 ... ...
- 홈즈의 체육 선생님 ‘캡틴 어무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일이었다.“아이고, 이제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좀 헷갈리는구나, 홈즈야. 네가 왼쪽과 오른쪽 무게를 좀 맞춰 줘야겠다.”미션3 꼬인 건 풀어야지~“너무 무리해서 운동하다간 저렇게 꼬인다구~!”줄넘기 동호회에서 줄넘기를 하다가 줄이 그만 꼬여 버렸다. 먼저 각 줄이 누구 것인지 확인해야 풀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10
- 된다(그림 ❹). 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세로가 승리한다(그림 ❺). 즉, 세로에게는 오른쪽 게임판의 인센티브가 왼쪽보다 높다고 말할 수 있다.도미니어링 게임은 바둑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바둑의 원리를 깨닫는 데도 도움이 된다. 가치와 인센티브를 따져가며 바둑알을 두는 과정이 바둑에서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10
- 지날 때, 유니타리 진행을 고려하면 관측자까지 포함된 중첩상태가 형성된다. 전자가 오른쪽으로 가고 붉은색 불이 들어오고 그것을 본 관측자가 있고, 전자가 왼쪽으로 가고 푸른색 불이 켜지고 이것을 본 관측자가 있다. 관측자만 추가됐지 앞에서 했던 것과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 하지만 이제 ...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10
- 영화 속에서처럼 한붓그리기가 불가능한 움직이는 미로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땐 오른쪽 루카스의 전략을 이용해 보자.영화 속에서 러너를 총괄하고 있던 민호는 사실 이미 오래 전부터 미로의 지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로를 쉽게 탈출할 수 없었던 이유는 뭘까? 그 이유는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10
- 것을 한순간에 알아챌 수 있었다. 좀처럼 쓰이지 않은 글자는 물론이고, 악보의 맨 오른쪽 아래 같은 위치에 같은 글씨체로 글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소마는 글자를 유심히 관찰하면서 암호를 풀기 시작했다. 박 형사 역시 악보에 쓰여 있는 글씨를 보고 있었다. 박 형사의 표정이 심상치 않았고,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10
- 대수적인 분배법칙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A+B)∧C=A∧C+B∧C이다. 물론 이렇게 되려면 오른쪽의 합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야 한다. 그런데 평행사변형 두 개의 합집합도 면적을 갖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합집합의 면적처럼 해석하려고 한다. 그러면 분배법칙에 의해서 임의의 상수 c에 대해 (A+cB)∧B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