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11
- 현재까지 알려진 사람의 miRNA는 약 1000개이며, 사람의 유전자 절반이 miRNA의 지휘 아래 있다. 지난 10여 년 간의 연구 결과 miRNA는 발생과 세포의 분화, 확산, 죽음, 에너지대사, 항바이러스성 방어 등 매우 다양한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siRNA는 miRNA의 일부가 효소에 의해 변형된 것과 몸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11
- 선으로 생각하면 다리 문제와 변형한 도형은 서로 위상동형이다. 따라서 위 문제는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점, 선, 면의 내용을 확장해 실생활에서도 수학의 원리가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게 만든 수업이다. 다양한 형태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학적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공간을 만들어 지하로 끌어들인 태양빛을 이용해 식물들을 기르는 중이다(왼쪽 페이지 아래 사진).방법은 이렇다. 지상에 포물선 모양의 유리접시를 만들어 태양빛을 모은다. 이 유리접시는 태양의 위치 변화를 쫓아가며 최대한 많은 빛을 모으도록 설계했다. 포물선의 초점 부위에 모인 태양빛은 ...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교토대학교의 지진연구소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분화구 주변에 발생한 산사태가 아소산 아래 마그마방의 화산가스나 수증기를 자극했다고 분석했답니다. 지진의 흔들림이 마그마방을 직접 흔든 것은 아니지만, 지진이 화산 분화의 원인이 될 수는 있다는 이야기지요.그러면 우리나라의 백두산도 ... ...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10
- 필레가 몇 차례 튕겨져 나갔다. 공교롭게도 필레가 착지한 지점은 햇빛이 들지 않는 바위 아래였다. 태양광을 받아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필레는 사흘 만에 휴면 상태에 들어갔고, 7개월 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잠시 신호를 보내왔다. 하지만 이후 교신이 끊어져 지금까지 위치조차 ...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과학동아 l201610
- 있죠. ‘소프트 로봇’으로 잘 알려진 ‘하버드 비스 연구소(Wyss Institute at Harvard University, 아래 사진)’도 바로 이곳 주민입니다.하버드 비스 연구소의 가장 큰 장점은 내로라하는 연구자들과어깨를 나란히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의 성지하버드 비스 연구소는 지난 여름 가오리와 ...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 해저터널 공사에서 땅을 뚫는 거대한 굴착기의 모습.한편 해중터널은 지구가 터널을 아래로 당기는 중력과 터널이 물에 뜨려고 하는 힘인 부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해요. 물에 뜨는 부력 장치에 터널을 연결하는 방법이나 현수교처럼 긴 케이블로 터널을 고정시키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10
- 초기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중력파 걸러내는 ‘힐베르트-후앙 변환’중력파는 아래의 초록색 그래프처럼 ‘파형’으로 관측된다. 시간에 따라 시공간이 흔들리는 모양이다. 이 파형에는 중력파를 발생시킨 천체의 질량, 지구에서 천체까지의 거리, 천체의 기하학적 특성 등 다양한 요소가 ...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강하게 흔들린 마시키마치에서는 집이 무너지고 다리가 끊어졌지요. 하지만 아직 땅 아래의 힘이 모두 배출된 건 아니었어요. 사람들이 모두 잠든 16일 새벽 1시, 히나구 단층대와 나란히 붙어 있던 후타가와 단층대의 단층들까지차례로 깨지며 지각이 길게 미끄러졌어요. 이 때문에 M7.0이라는 더 큰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0
- 순으로 약해진다. 노란색과 초록색으로 둥그렇게 둘러싸인 부분이 칙술루브 분화구다. 아래는 이 결과를 토대로 그린 상상도다. 이 가설은 운석충돌설의 확장판이다. 운석이 충돌한 곳이 유카탄반도 중에서도 유전지대였을 것이라는 게 이 가설의 핵심이다. 기존의 운석충돌설에서는 운석이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