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회자
총장
사장
학장
총통
프레지던트
국가원수
d라이브러리
"
대통령
"(으)로 총 726건 검색되었습니다.
'궁' 스튜디오, 컴퓨터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604
경복궁이 보인다. 청와대는 온데간데 없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입헌군주국. 국가 원수는
대통령
이 아니라 황제폐하다. 드라마 궁은 ‘좌우당간’ 이렇게 시작된다. 영국에 윌리엄 왕자가 있다면 우리에겐 ‘이신’ 황태자가 있고, 버킹검 궁이 영국 왕실의 상징이라면 우리에겐 경복궁이 있다.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
합니다. 지난 1월 7일 미국의 A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앤드루 잭슨 전 미국
대통령
의 초상화 옆에 오렌지 주스로 유명한 델몬트 사의 스티커가 잘못 새겨진 20달러 지폐 한 장이 경매를 통해 2만 5300달러(우리나라 돈 2500만 원)에 팔렸다고 해요. 1996년 미국의 포트워스 조폐창에서 만들어진 이 지폐에 ... ...
도둑잡는 복잡계
과학동아
l
200603
거리 전체로 확대된 전형적인 복잡계 변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지난 2004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폭풍의 눈이었던 촛불시위와 황 교수 사태 초기에 일어난 난자기증운동 현상도 붉은 악마 신드롬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서울산업대 민병원 교수도 “냉전 종식 후 혼란스러워진 국제 정치와 사회 ... ...
PART2 GEOSS 꾸려 수시로 지구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0602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인도네시아의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
등은 쓰나미와 지진, 카트리나 같은 자연재해를 ‘새로운 적’으로 표현하며 “테러보다 더 위협적”이라고 지적했다. 날씨 정복해야 전쟁에서 이긴다그렇다면 기후변화라는 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 ...
왜 우리는 황우석을 믿었는가
과학동아
l
200602
은연중 작용해 반대 의견을 개진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한다. 그에 더해 케네디
대통령
의 리더십은 자신의 의견을 먼저 이야기하고 내각의동의를 차례로 구하는 스타일이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자연히 모든 가능성을 타진해 본 뒤에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시간제한 내에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
홍조근정훈장 수여●2001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2001년 세종문화상
대통령
상 수상●2002년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선정●2004년 광우병 내성소 복제 성공●2004년 세계 최초 치료용 배아줄기세포 추출 성공황우석 교수팀과 치료용 배아줄기세포6. 난치병 치료의 꿈, 이제 1막이다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12
일어서라’라는 제목으로 정부 차원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면서 “박기영
대통령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2004년 논문의 공저자이기 때문에 조사를 주도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까지 주장했다. 이에 정부는 “저널이 내정간섭까지 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반박했다.가장 큰 우려는 ... ...
하룻밤에 읽는 줄기세포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511
0년 오토바이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된 강원래는 척수손상 환자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
은 치매로 고생하다 사망했다. 이들의 병도 줄기세포로 고칠 수 있을까.학자들은 척수손상을 입은 리브나 강원래의 경우 줄기세포는 부분적인 손상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치매는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11
서은숙서 교수는 1997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정부가 수여하는 ‘신진 우수연구자
대통령
상’을 수상해 5년간 10만달러(약 1억원)를 지원받았다. 당시 이 소식이 언론에 잠시 소개됐을 뿐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다.하지만 미국 관련 학계에서는 ‘전설의 인물’로 통한다. 1991년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09
몰두했다. 자신이 노력하는 만큼 현재는 새로운 미래로 바뀔 것이라고 생각했다. 지난해
대통령
과학장학생 장학증서 수여식에 초대받아 갔을 때도 그는 학생들에게 그 얘기를 들려줬다.“똑똑한 생쥐는 미로를 금방 빠져나와요. 하지만 시간이 좀 더 걸릴 뿐 보통 생쥐도 결국에는 미로에서 길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