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평가"(으)로 총 3,27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모의 가혹한 양육이 자녀 비만 부른다2018.07.21
- 부모의 자기보고와 아이의 자기보고, 그리고 카메라를 통한 녹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했다. 우선 청소년기에 경제적 어려움이 컸던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성인이 되어 비만이 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의 교육 수준이 낮은 가정의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가정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특정 요리를 정해놓고 백 씨가 전국의 맛집을 다니며 먹어보고 레시피를 추측하고 맛을 평가한다. 또 ‘집밥 백선생’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요리 초보인 연예인들에게 요리하는 즐거움을 알게 해준다. 어떤 사람들은 오늘날 미식 열풍을 일종의 ‘퇴행’으로 진단하기도 하지만 이는 우리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때문인지 내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느낄 즐거움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Zelenski et al., 2013).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외향적이고 행복한 사람과 내향적이고 행복한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친한 친구들을 얼마나 자주 만나는지, 친구들에게 고민 상담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능력이 더 뛰어나서가 아니라 사회성은 떨어지지만 재능이 뛰어난 사람들을 높이 평가한 결과라는 말이다. 코르크마개뽑이와 꽃이 담긴 꽃병을 그린 그림으로 왼쪽은 사실적 묘사에 재능을 타고난 자폐 성향인 열 살 아이의 그림이고 오른쪽은 그런 재능이 없는 같은 나이 아이의 그림이다. 왼쪽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2018.06.16
- 올바른 삶을 살아온 사람들보다 구불구불한 길을 걸어온 사람들을 더 대단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Klein & O'Brien, 2017).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보다 넘어지고 먼 길을 우회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싸움이, 겉으로는 비슷해보일지언정, 실제로는 훨씬 더 힘들다는 것을 다들 ... ...
- 북한 지하 100~300m 매장 광물자원, 원격으로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6.15
- 연구단의 1단계 연구가 종료된다. 고 단장은 “2021년까지의 2단계 연구는 올해 10월경 평가를 거쳐 추진될 예정이다. 2단계에서는 개발한 기술을 실용화 단계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식 얄팍할수록 자신감은 더 커진다2018.06.09
- 보이는 편이다. - GIB 제공 마지막으로 자신의 지식 수준이나 내집단의 지식 수준을 과대평가한 정도가 가장 심했던 사람들은 퀴즈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했지만 답을 하나도 못 맞춘 것은 아니고 ‘아주 조금’ 정답을 맞췄던 사람들이었다. 아예 관심도 없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보다 ‘조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 않은 나에게 욕을 퍼붓는 일을 오래 해왔다. 그러지 않기로 마음먹었지만 나를 향한 평가에 지나치게 익숙해진 나머지 어떻게 하면 ‘순수한 축복’을 할 수 있는지 알지 못했다. 다행히 자기 자비를 연구하는 Karen Bluth 박사의 수업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고 하루는 이런 시간을 가졌다. 나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읽어봤고 에세이에서 ‘유익한 내용이 많지만 곡물(grain)에 대한 비난은 지나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한 주제에서 나와 다른 주장을 한다고 해서 그 사람의 모든 주장을 거부할 필요는 없다. 밀가루 글루텐의 유해성은 여전히 논란 중이다 - GIB 제공 밀가루 음식 섭취를 확 줄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있는지에 대해서도 그렇게 오버할 일이 아니라며 약자들이 입은 피해의 심각성을 평가절하하기도 했다. 체제 정당화 동기가 큰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약자를 향한 혐오범죄가 ‘매우 흔하고 심하다’, ‘많은 사람들이 불안을 느끼고 있고 사회가 바뀌길 원한다’는 정보를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