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470건 검색되었습니다.
몸 온도 따라 스스로 열 방출 조절하는 기능성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이 섬유의 진가는 적외선을 감지해 통과시키는 데 있다며 열의 통로를 여는 것은
작은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실을 카본나노튜브(CNT)로 코팅했다. 탄소원자가 육각형으로 배열돼 원통 모양을 형성하는 재료인 CNT는 서로 간에 전자기 결합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방출될 전자파를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온라인판 7일자에 실렸다. 사람 몸은 약 60조 개나 되는 세포로 이뤄져 있다. 이 중 가장
작은
세포는 온몸에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로 지름이 약 8~10㎛다. 핵이 없기 때문이다. 가장 큰 세포는 난자로 150㎛에 육박한다. 한편 길이가 가장 긴 세포는 신경세포(뉴런)로 최대 1m정도다. 뉴런은 세포체의 ... ...
삼키는 인슐린 캡슐 개발…당뇨 환자 주사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인슐린 캡슐 알약이 상용화되면 이런 주사의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다. 연구팀은
작은
완두콩만 한 크기의 인슐린 주사 캡슐을 개발했다. 움직임이 많은 위 속에서도 이 캡슐이 위벽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쪽은 납작하고 아래쪽은 뾰족한 밥그릇 형태로 설계했다. 이 캡슐 안에는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조직 구조를 분석해 어린 개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몸 길이 1.3m의 매우
작은
개체로, 이렇게 작고 어린 개체는 뼈가 물러 화석으로 남기 힘든데 학계에 희귀한 사례를 보고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
美연구진, 대장균 유전자도 교정하는 ‘크리스퍼’ 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CasX 효소가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CasX 효소가 기존 두 효소에 비해 크기가
작은
만큼 정밀한 유전자 치료제 임상 등에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 ...
UNIST 연구진, 고품질 ‘단결정 흑연’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합성한 인조 흑연도 모두 다결정 구조다. 재료를 이루는 결정 속 원자 배열이 다른
작은
결정들이 연결돼 하나의 물질을 이루는 것이다. 다결정 구조는 결정들이 만나는 경계면에 결함이 생겨 물질 고유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과학자들은 다결정 구조의 흑연이 지니는 단점을 해결하기 ... ...
뼈만 만은 고슴도치 ‘화제’
팝뉴스
l
2019.02.04
것이다. 또 경이롭다고 평가하는 댓글도 보인다. 고슴도치는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작은
생명체 불과하지만 자세히 보니 놀랍도록 정교하다는 평가다. 자연이 만든 위대한 작품인 셈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사람과 접촉 많은 설연휴 인플루엔자 조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2.02
신체 증상을 유발한다. 인플루엔자는 감염 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나오는
작은
입자를 통해 전파된다. 공기 중으로 감염이 이뤄질 수도 있고 신체접촉, 의류나 문잡이와 같은 간접적인 경로로도 전파돼 그 전염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65세 이상 노인이나 6세 미만의 소아가 ... ...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내부에는 실리콘 튜브가 있다. 이 튜브 안에는 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산화철 입자로 이뤄진 특수 유체가 들어가 있다. 산화철 입자들은 실리콘 튜브 내부에서 전류를 만들어내는데 입자에 압력을 주면 실리콘 튜브 내부의 입자들이 움직이며 전류도 바뀌게 된다. 이 전류는 ... ...
주기율표 곳곳을 채운 화학의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이다 노다크는 무급 초대연구자로 일하고 있었다. 그렇다보니 1934년 그녀가 원자핵이
작은
원소로 분열할 수 있다는 핵분열 개념을 처음 제안했을 때에도 과학계에서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1934년 92번 원소 우라늄(U)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