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1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제약회사와 수학자, 힘을 합치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최근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와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화이자’가 신약 개발을 위해 뭉쳤습니다. 약을 만드는 회사에서도 수학에 주목하고 있다는 새로운 소식입니다. 지난 1월호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에서 수학동아 독자와 처음 만난 김 교수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Q.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이 나오지 않았습니다.4명이 공평하게 먹으려면 203번 잘라야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4월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소와 뉴사우스웨일즈대에서 근무하는 수학자 하리스 아지즈와 박사과정 학생인 사이먼 맥켄지가 아카이브(새로운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지금까지 모든 뇌 질환 연구는 1988년 처음 뇌지도로 만들어진 60세 프랑스 여성의 뇌를 기준으로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이나 유전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 ... 연구 기간을 단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최근
호에 게재됐다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지구의 밤하늘이 화려하게 물들었다. 8월 12일 밤 10시부터 13일 0시 30분까지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쏟아졌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스위프트 터틀 ... 10% 이상 밝은 상태를 빛 공해로 규정하는데, 한국은 전체의 89%가 빛 공해 지역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사이언스 어드밴시스’ 6월 10일자)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끊어지지 않고 버틴다.특히
최근
엔 많은 과학자가 그래핀의 포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를 제작할 때 큰 문제 중 하나는, 소자가 집적화될수록 열이 많이 난다는 점이다.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를 이용해 열을 방출해 줘야 하는데, 유망한 후보가 바로 그래핀이다. 그래핀을 방열소재로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때문에 보안에 균열이 생기는 거다.자율주행•의료영상… 문제 해결하는 수학김상연
최근
자율주행자동차도 화제다. 물류 창고에서 제품이 들고 나는 경로를 최적화하거나 버스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데 쓰는 것과 비슷한 수학을 자율주행차에도 쓴다. 그런데 예측 못한 사고나 공사 등을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 설계가 제대로 돼야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거든요.오경훈 그럼 가장
최근
에 하신 연구는 무엇인가요?이관중 공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공항에 가보면 비행기 한 대가 뜨고 한참 있다 또한 대가 뜨잖아요. 자동차처럼 바로 바로 움직이지 않죠. 비행기가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최근
미국 텍사스대 마린 호일레 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35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수학문제를 풀었습니다. 증명한 문서 크기만 무려 200TB(테라바이트)라고 합니다. 1TB는 1024GB(기가바이트)이고, 1GB는 1024MB(메가바이트)입니다. 보통 음악 파일 한 곡의 크기가 5MB 정도이니, 약 4000만 곡이나 되는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1:1 고민 상담을 지원해 선생님과 쉽게 상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클래스팅은
최근
러닝카드란 새로운 학습 콘텐츠도 내놨다. 러닝카드는 클래스팅에서 모인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한 기계학습으로 분석해 적용한 교육 플랫폼이다. 학생들이 어떨 때 자발적으로 공부하는지를 알아내 개인별로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정상적으로 형성․유지되려면 축삭의 말단이 정확하게 연결돼야 한다.
최근
까지는 이때 필요한 단백질이 모두 뇌세포의 몸통인 세포체에서 합성된다고 알려졌다. 그런데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호성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크리스틴 홀트 교수팀과 함께 축삭이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