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또 국내 최대 프로테오믹스 교육 기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만 400여 명의
전문
연구인력을 배출했으며 31회의 국내외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펴며 아시아권의 프로테오믹스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곳에서 세계 공통의 프로테오믹스 교과서도 만들었다. 2003년부터 98편의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직은 어렵지만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들은 있습니다. ‘사람과 똑같은 로봇손’만
전문
으로 연구하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덱스트러스(Dexterous)’ 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글에선 편의상 손가락 형이라고 부르겠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은 사람의 손동작을 흉내 낼 수 있도록 네 개, 또는 다섯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통해 수시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되면, 2학년 때까지
전문
교과를 통해 대학입시를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자기주도학습전형 확대 그렇다면 입시 전형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작년부터 외고, 자사고와 마찬가지로 과학고 역시 선행 학습지식을 평가하는 방법을 ... ...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은 멈추지 않고 뜨거워지는 지구다. 기후
전문
가들은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990년 수준의 절반으로 내려가지 않으면 이번 세기에 평균기온이 2℃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영국 환경운동가 마크 라이너스는 ‘6도의 악몽’에서 지구 기온이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으면 피부가 썩을 수도 있다.최 교수는 “자기가 가진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싶다면
전문
의와 상담을 해야 한다”면서도 “한 번 성형시술을 시작하면 몇 개월마다 꾸준히 받아야 하고, 예뻐지고 싶다는 욕망이 점점 커져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얼굴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간혹 ... ...
토종 로봇 휴보, 미국-싱가포르 수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버지니아공대, 서던캘리포니아대 (USC). 펜실베니아주립대 6곳이다. 또 싱가포르의 IT
전문
국책연구기관인 ‘정보통신연구소(I²R)’도 최근 휴보2 두 대를 구입하기로 하고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수출액은 8대를 모두 합해 400만 달러 정도다.휴보센터는 이번 수출로 세계 로봇연구 시장을 선점할 수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설치 의무 병원을 현재 150곳에서 1100여 곳으로 확대해 감시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감염
전문
가들은 “일반인들은 손을 자주 씻고 의료 기구에 접촉할 때는 조심하는 것이 슈퍼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일이자 중요한 대책”이라고 조언했다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조선공학(현 조선해양공학과)을 전공했다. 박사학위는 미국 아이오와대에서 받았다. 선박
전문
가지만 물이나 공기의 흐름을 컴퓨터로 분석하는 ‘전산유체역학(CFD)’이 특기다. CFD를 선박의 설계, 제조에 응용하는 실력은 국내에서 첫손가락에 꼽힌다. 그가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었던 것도 CFD를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과장이라는 반응이다. 실제 논문에도 외계생명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국내
전문
가 사이에서도 이 박테리아를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로 봐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2010년 12월 14일 한국 미생물학회는 공식 논평을 통해 “계통을 분류하면 할로모나스 속에 속하는 박테리아와 상당히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잘 읽어야 하는 ‘통역자’의 역할을 한다”면서 “이 때문에 후보자들에 대한 외부
전문
가의 평가가 심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노벨상을 타기 위해서는 “젊은 연구자들이 지도교수의 지시에만 의존하지 말고 때로는 지도교수가 안 된다고 하는 연구도 시도해야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