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요즘 시대에 스타가 되려면 노래 실력은 물론 연기력도 갖춰야 한다고. 대박 영화에
작은
역할로라도 출연하면 좋을 텐데…. 가만, 어떤 영화가 흥행에 성공할까? 영화사 친구에게 듣자하니 입소문이 어떻게 나는지가 참 중요하다던데!영화가 흥행하기 위해서는 좋은 시나리오와 연출력, 배우의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직업 덕분에 해외에 나갈 기회가 많았는데, 그때도 쉬는 날마다 돌을 구하러 다녔지요.
작은
꿈이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특성과 사진을 정리해 한 권의 책으로 만들고 싶어요. 그때까지 가장 아름다운 자연 중 하나인 광물을 사랑하렵니다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 젖지 않는 연꽃잎도 표면에 나노구조가 있다. 정 교수는 “남들이 쉽게 만들지 못하는
작은
구조를 만 들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이 가진 최고의 장점”이라고 말했다.나만의 아이디어를 만들어라만드는 방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어떤 동물을 따 라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접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날 저녁
작은
바에 들렀습니다. 스피커에선 '고엽(Autumn Leaves)'이라는 샹송이 흘러나오고, 벽에는 멋진 에펠탑 사진이 걸려 있네요. 제가 좋아하는 여배우 샤를로뜨 갱스부르의 젊은 시절 사진도 있고요. 웨이터가 다가와 와인을 묻는데 나도 모르게 비싼 프랑스 와인을 선택하고 말았습니다. 도대체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실제로 가능할까.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혈구 보다
작은
로봇이 스스로 전기나 초음파 등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면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최 교수 는 지난 2013년 혈관 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 크기 의 로봇을 개발했다. 크기만 놓고 보면 일찌감치 가능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같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알수록 모르는 게 늘어나는 건 인류의 숙명이다. 하지만 우주의 거대한 규모는 인류의
작은
두뇌로 단박에 이해하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 가장 가까운 별의 미스터리는 우리에게 겸손하라고 말해준다.대류층 - 태양을 이루는 물질이 대류한다전도층 - 태양의 내부 물질이 뜨겁고 밀도가 높게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차 있었다. "인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순간이었죠. 세포가 물질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작은
주머니(운반 소낭)를 처음으로 발견한 거니까요." 노벨상과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셰크먼 교수는 그때부터 30여년 동안 세포 내에서 운반 소낭을 수송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대거 찾아냈다.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빨리 회복됐다. 심지어는 평소 상태보다 더 편안해 하는 것이 확인됐다. 아름다운 자연을
작은
모니터를 통해 본 것만으로도 마음이 안정된 것이다.심리학자 스테판 카플란은 자연이 주는 이런 효과를 '주의 회복 이론'이라고 명명했다. 자연 속에 있으면 마음이 안정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룩을 벗겨 완벽을 추구하는 게 과학자의 본능이다. 더 구나 나노그램, 피코그램 등 아주
작은
질량을 재는 일 이 늘어나면서 부정확한 kg은 조금씩 문제를 키우고 있었다(다만 저울 업계는 최근까지도 기준 변경에 반 대했다고 한다).플랑크 상수독일 과학자 막스 플랑크가 1900년 만든 양자역학 상수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