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단맛 이외에도 특유의 맛이 있다. 밥, 빵, 국수, 파스타 등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바로 그 맛이다. 임주연 미국 오리건주립대 식품과학공학과 교수팀은 밥, 빵, 파스타, 감자 등 탄수화물에 단맛 외에도 특유의 맛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케미컬 센스’에 발표했다(doi:10.1093/chemse/bjw088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때문이다. 또, 솜이기 때문에 보풀이 잘 일어나고 쉽게 흩어진다. 이를 보완하는 게 바로 부직포와 흡수지다. 흡수층의 부직포는 표지층의 부직포와 달리 생리혈을 많이 흡수하도록 목재펄프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로 채워 넣으면 실수의 수직선을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여기서 빈틈을 채우는 수가 바로 ‘무리수’다. 실수는 유리수와 유리수보다 더 많은 무리수로 이뤄진 빈틈없는 수 체계다. 실수, 많아도 너무 많아!데데킨트가 유리수와 무리수로 이뤄진 실수의 정체를 파악하고 줄을 세웠다면, 칸토어는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20세기 수학자들이 풀어야 할 23가지 문제’를 발표했는데, 그중 첫 번째 문제가 바로 연속체 가설 증명이었다. 오스트리아 수학자 쿠르트 괴델은 1938년에 현대 수학의 근간인 표준 공리만으로는 이 가설이 틀렸음을 보일 수 없다고 했다. 그리고 25년이 지난 1963년, 미국 수학자 폴 코언은 표준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짧아지다 빨간 점과 파란 점이 한 점, 즉 같은 월세 분배 방식으로 모일 거야. 그때가 바로 오빠와 동생이 동시에 다른 방을 좋아하면서 월세에 만족하는 경우야. 꼭짓점 색깔이 다른 선분은 반드시 있으니까 모두가 만족하는 해법도 존재해. 수는 N명이 N개 방을 나눌 때는 N차원 단체로 나타낼 수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E고리)를 추가로 발견했다. 이 고리들은 평상시에는 잘 보이지 않다가 태양이 고리의 바로 뒤쪽에 왔을 때만 밝아졌다. NASA 연구팀은 E고리의 일부가 위성 엔셀라두스에서 분출된 얼음입자로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이후에도 카시니는 고리와 관련된 수많은 데이터를 전송했다. 그 결과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들도 있다. 히말라야를 오르는 산악인들이 반드시 함께 하는 사람들, 바로 셰르파다. 셰르파는 네팔의 고산지대에 사는 종족의 이름으로, 티베트어로 ‘동쪽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들은 약 500여 년 전 티베트에서 네팔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적으로 해발 3000m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해수면으로 유출되지만 타르와 아스팔트처럼 점도가 높은 물질은 유출되는 입구에서 바로 굳어버린다. 심해저의 수온이 섭씨 2~4도로 낮기 때문이다. 타르나 아스팔트로 이뤄진 석유나 파라핀 성분이 많아 점도가 높은 석유는 지각을 뚫고 나올 때는 온도가 높지만, 분출되면 곧 식어버린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방법은 문제가 되는 세포들을 정상 세포로 교체하는 방법입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바로 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고로 특정 신경세포에 손상이 생긴 환자라면, 이 환자의 피부세포를 떼어다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든 뒤, 다시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이식할 수 있습니다.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더 많은 후손을 남길 수 있었다(선택이 작용하는 단위가 개체라고 잠시 가정한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추우면 몸을 덜덜 떠는 사람을 도킨스는 ‘이기적’이라고 비유했다. 사실 자연 선택의 단위는 정의상 ‘이기적’(다음 세대에 후손을 많이 남기는 특성)이므로 이 은유는 싱겁게 들리기까지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