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남한은 인구밀도가 너무 높아 더 이상 호랑이가 살 수 없지
만
, 북한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는 가능성이 있다”며 “호랑이를 일부러 풀어놓을 것도 없이,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호랑이가 내려올 수 있는 길을 조성해주면 백두산에 호랑이가 되돌아올 수 있다”고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기존의 과학 수사 기법보다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효율이 높다. 현장에서 시체 상태
만
확인하면 바로 사망 시점을 확인할 수 있어 수사 초기에 사망 시점을 확정한 뒤 신속하게 단서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법곤충학의 경우 곤충의 종과 성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을 배양하고 유전자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
든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신발상자
만
한 ‘큐브 로버’도 제작하고 있다. 손튼 대표는 “이 모든 기술은 달뿐
만
아니라 화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며 “과거에는 냉전이 우주개발을 이끌었다면 오늘날에는 시장과 창의적인 상업용 서비스들이 우주개발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시 달로 그리고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모른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이 어렵거나 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하지
만
1960년대 기술자들 역시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고, 지금의 우리는 그것을 실현시켰다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빛은 ‘빌딩 블록’이에요. 단일 파장의 빛의 성질을 잘 알면 다양한 색을 가진 빛을
만
들 수 있는 것처럼, 빛에 대응하는 군의 성질도 잘 이해할 수 있지요 ... ...
돼지 게임 전략? 수학으로 찾으면 되지!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최적의 전략을 찾는 데 도전장을 냅니다. 크니치아의 전략은 직관적이고 단순하긴 하지
만
, 완벽한 답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크니치아의 방법은 이길 확률보다는 순서가 돌아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예상 점수였지요. 두 컴퓨터 과학자는 가능한 모든 게임 상태에서 수학적으로 이길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푸는 놀이와 퍼즐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섞은 후에도 맨 위에 있는 ‘바깥 엇갈리기’ 방법을 써 볼게요. 그럼 놀랍게도 단 8번
만
에 원래 순서대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런 카드 섞기의 비밀은 정수론으로 풀어낼 수 있습니다. 수학자들이 카드 놀이를 수학적으로 연구했기 때문이지요.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재미있는 놀이를 더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
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소수의 마법은 2
만
년 전부터 인류의 소수 사랑은 약 2
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50년 아프리카 콩고에서 이상한 뼛조각이 발견됐습 ... 그가 리
만
가설을 발표한 지 160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금도 인류 최고의 수학자들은 리
만
이 남긴 소수의 비밀을 풀기 위해 도전하고 있습니다 ... ...
Part 2. 달은 지구촌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팀이 우승을 하는 대회였지요. 마지막까지 총 5개의 팀이 유력한 경쟁후보로 남았지
만
결국 아무도 기한 내에 미션을 수행하지 못했답니다. 결국 우승자가 없는 상태로 대회는 막을 내렸지요. 5개 팀 중 하나였던 이스라엘의 ‘SpaceIL’은 대회가 끝난 뒤에도 달 탐사에 대한 도전을 계속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실제로 이 행성이 빠른 속도로 증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GJ 3470b는 20억 년
만
에 전체 질량의 1/3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는 GJ 436b보다 100배나 빠른 속도지요. 연구팀은 이렇게 빠른 속도로 증발하는 이유를 밝혀내면 행성의 수명이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낼 수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