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나타나는 규모 불변성(프랙탈 같은 자기 유사성)을 나타낼 것이다.분석 결과, 초기 조
건
에 따라 새로운 파동의 분포가 달라졌다. 즉, 초 플랑크 영역의 물리학이 바뀜에 따라 현재 우주의 규모 불변성에도 관측 가능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전까지는 초 플랑크 영역의 물리학이 현재 우주에 영향을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증식해, 주위 조직을 침범하고 전이되는 것이 바로 암이다. 돌연변이 자체가 특별한
건
아니다. 돌연변이는 유전에 의해, 환경에 의해, 또 끊임없는 세포분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오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기기 때문이다. 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돌연변이가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다리가 길어 보이는 반면 또 어떤 사진은 다리가 짧아 보이기도 해. 다리 길이가 다른
건
카메라를 정면에서 찍지 않고 정면보다 위 또는 아래에서 찍기 때문에 나타나는 ‘원근 왜곡’ 현상이야. 사진을 찍을 때는 물체가 얼마나 떨어져 있냐에 따라서도 배율이 달라져. 이것을 ‘종배율’이라고 해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따오지 못하는 바보꿀벌이 있어요. 이들은 동료들이 따온 꿀을 먹으며 살아요. 신기한
건
바보꿀벌이 없는 벌 무리보다 바보꿀벌이 있는 벌 무리가 잘 살아남는다는 거예요. 꿀을 축내서 잘 살아남지 못할 것 같은데 말이죠. 그것은 바보꿀벌이 헤매다가 새로운 꿀 군락을 찾아내기 때문이에요.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그래도 통해요. 숫자로 통하거든요.” 캐서린이 문제를 풀기 위해 가져온
건
‘오일러 방법’입니다. 18세기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만든 식이지요. 캐서린은 오일러의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의 염려가 무색하게 완벽히 문제를 해결해 냅니다.오일러 방법이 궁금하다고요? 오일러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순전히 하림을 찾기 위해서 한 행동이었다.‘나를 놓칠까 봐 경보까지 내리다니. 이
건
보호하는 수준이 아니야. 마고는 분명 날 의심하고 있어.’화장실을 나간 하림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태연하게 사람들 사이에 섞였다. 곧 마고가 하림을 보았다. 얼마 뒤 경보가 풀렸다는 안내 방송이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5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기사에 집중하느라 그런 것뿐이고.편 : 실험하느라, 또 재료 준비하느라 고생이 많았다는
건
알아. 오븐 온도 못지 않은 열정에 놀랐어.쩡 : 최초의 발효 빵으로 추정되는 이집트 빵을 최대한 비슷한 재료와 레시피로 만들어봤지.편 : 맛있었나?쩡 : 최고의 제빵장이 만들었는데 그럼. 하지만 발효 빵과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약을 먹는 습관도 문제지만 아프다가 조금 괜찮아졌다 싶으면 스스로 약을 중단한다. 이
건
몸속에 내성균 생산공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며 “의사와 의견을 조율해 시기와 복용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내성이 생기지 않는 새로운 항생제’ doi:10.1038/nature14098인간은 왜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아니니까. 과거를 바꾸는 바람에 분기가 생겨 버렸거든. 내가 이 우주에 대해서 아는
건
단 한 가지밖에 안 남았어.”노마가 물었다.“그게 뭔데?”“네가 마지막 불멸자라는 사실.”노마는 유청의 말을 듣고 깊은 생각에 잠겼다. 그리고 간단하면서도 두렵고 무거운 한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그는 ... ...
[과학뉴스] 드래곤피쉬가 입을 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최대 120°까지도 벌릴 수 있는 거예요.또한 연구팀은 이렇게 크게 벌어지는 입을 갖게 된
건
드래곤피쉬가 먹이를 씹지 않고 한 번에 삼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드래곤피쉬가 갖고 있는 날카로운 이빨은 감옥 창살처럼 먹이를 가둔 후 한 번에 삼키기 위해 진화한 형태라는 거예요.연구팀은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