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엄지와 검지 끝으로 익히지 않은 쌀 한 톨을 집어 들어보자. 생각보다 쉽지 않을 것이다. 타원형 모양의 쌀은 긴 쪽 지름이 5mm이고 두께는 3mm에 지나지 않 ...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시세계를 들어 올리는 광집게가 앞으로 얼마나 더 큰
가능성
을 들어 올릴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속도가 더 빠르죠. 나노과학 연구가 활성화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가능성
을 갖고 있는 분야입니다. 반도체뿐 아니라 다양한 공학에 응용이 가능하죠.”“이제는 융합의 시대”“독창성, 창의성이라는 것은 곧‘융합’의 길로 연결된다고 생각합니다. 최고의 자리에 올라 더이상 ... ...
심층면접과 과학캠프 중점 대비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실험 과제는 모두 배제된다”며,“자기소개서와 에세이를 기반으로 학생의 장단점과
가능성
을 분석하고, 그것을 심층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캠프 전형을 실시한다. 봉사활동에 대한 평소 생각을 이야기하거나 영화를 보고 감상평을 나눠봄으로써 서류에 표현된 학생들의 생각을 다시 한 번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레이저빔이 충전돼 있는 광선검 말이다. 엄밀히 얘기하면 레이저 광선검이 실현될
가능성
은 거의 없다. 가시광 레이저빔이라도 레이저 광선은 빛을 산란시키는 물질이 없으면 눈에 보이지 않고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정해진 길이만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또 파동인 레이저 광선검끼리 서로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로켓을 쏘아 올린 선진국의 발사 성공률은 27.2%”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사 역시 실패
가능성
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교과부는 2월 나로호 1차 발사 실패 이유로 페어링을 분리하는 화약이 터지지 않았거나 화약은 정상적으로 터졌지만 페어링을 분리하는 기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해외 기업들이 아이디어를 선점한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시장 대신 아이패드 시장은 아직
가능성
이 많다”며 “사용자 입장에서 사진이나 동영상, 전자책처럼 ‘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아이디어 승부를 걸어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com 애플 vs 구글 전선 확대일로한 가지 더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옷감으로 손색이 없는 수준까지 가능할 정도라고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메타물질에서
가능성
을 찾은 사람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 이론물리학자 존 펜드리 교수였다. 1990년대 펜드리 교수는 영국의 한 소재회사로부터 의뢰를 하나 받았다. 당시 이 회사는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전투기용 탄소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설치했다. 파니아 박사는 “그림을 봤다는 환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임사체험은 환각일
가능성
이 높다”고 BBC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사람이 돌이 될 수 있을까지하 세계에서 페르세우스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머리카락 한 올 한 올이 뱀으로 이뤄진 전설의 괴물 메두사다. 메두사는 그의 얼굴을 본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입학사정관들은 서류를 보고 수험생의 실력과
가능성
을 평가하고, 면접과 캠프를 통해 그 실체를 검증한다. 학습계획서에 담긴 내용이 모든 전형에서 일관성 있게 이어져야 한다. 둘째, 핵심 내용을 최대한 간결하고 조리 있게 작성한다. 학습계획서는 문장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중에서도 검은 셰일층이 미생물이 화석이 되기 좋은 환경이었다는 뜻이므로 화석이 나올
가능성
이 더 높아요. 또 고생물학자들은 서해 소청도 등에서 발견되는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연구하기도 해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옛날에 살던 미생물, 특히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가 물 속의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