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4,430건 검색되었습니다.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12
서쪽과 동쪽 긴 단면의 대각선은 15쿠데(7.5m)가 된다. 이럴 경우 직각삼각형의 밑변이 1
0
쿠데(5m)이고 높이는 √5가 된다. 이 15쿠데(7.5m)의 대각선은 긴 밑변과 긴 변 대각선이 3:4:5인 ‘직각삼각형’이 된다.현실의 위치가 밑변의 절반이 되는 곳에 있는 것도 이집트인들의 높은 기하학 수준을 보여준다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12
응용’으로 1999년 미국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뽑은 ‘세상을 바꾼 젊은 과학혁명가 1
00
인’에 선정되기도 했다.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시끄럽고 귀찮은 소음으로 가득 차있다. 우리들이 ‘적막’이라 부르는 순간에도 우리의 뇌 속에선 신경세포들의 지지직거림이 한 순간도 멈추지 않는다. 지난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12
있다.디디오르가 기록한 공중정원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인공정원은 한변이 거의 1백2
0
m의 사각형으로 마치 극장과 같이 계단으로 한단씩 올라가게 설계됐다. 테라스 또는 플랫폼에 재배되는 모든 식물의 무게는 높낮이가 있는 기둥으로 지지되도록 했다. 가장 높은 기둥은 약 25m로, 정원 최상부를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12
적절히 부합하는 셈이다.원래 1967년에 단편으로 SF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던 타우 제로는 197
0
년에 단행본 장편소설로 출간된 뒤 최고의 SF에 수여되는 휴고상 장편 부문에 후보작으로 올랐지만,과학적 상상력에 비해 등장인물들의 캐릭터 묘사가 미흡한 탓인지 수상은 하지 못했다.우리나라에는 199 ... ...
노벨상 관련 사이트
과학동아
l
200011
http://www.accessexcellence.org/AB/CC/watson.html라이너스 폴링http://www.achievement.org /autodoc/page/pau
0
pro-1일생, 인터뷰 음성 및 동영상 클립 제공.카리 물리스http://www.feedmag.com/invent/mullis.html분자생물학자에게필수적인 실험 테 ...
고등학생이 제시한 우주쓰레기 해결방안
과학동아
l
200011
정보망에 연결된 것처럼 서로 네트워크화된다는 홈네트워크에 관한 것이었다. 앞으로 1
0
년 후 전자제품이 어떻게 발전하고 그때의 3대 히트 전자제품이 어떤 것일지도 상상과 예측을 해보아야 했다. 또한 홈네트워크의 한계와 이로 인한 문제점이 무엇일지를 추측해야 한다(자세한 문제와 이에 대한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11
아치구조가 혼합된 구조다. 특히 두께가
0
.1mm정도로 매우 얇으면서도 자체 중량의 3
0
배 가까이 저장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튼튼한 모습이다.벌집구조의 튼튼함을 알아보기 위해 텔레비전의 한 프로그램에서는 벌집구조로 만든 종이다리 위로 트럭을 지나가도록 하는 실험을 했다. 구조를 고려하지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11
갖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양자’라는 덩어리의 정수배가 된다는 것이다(과학동아 1
0
월호 특집 ‘양자역학’ 참조). 플랑크는 양자론에 대한 연구로 1918년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금속에 빛을 비추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인 광전효과에는 빛을 파동으로만 생각했던 19세기말 설명하기 힘든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11
붙여서 다시 1
0
단계로 세분한다. 이 방식으로 별들을 분류하면 태양은 G2형, 시리우스는 A
0
형, 베텔게우스는 M2형으로 표기된다.별의 맥을 짚는 방법 별의 스펙트럼형(표면온도)을 가로축으로 그 별의 절대광도를 세로축으로 잡고 별들의 분포를 나타내면 재미있는 결과를 얻게 된다(그림). 이런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11
때가 두배나 멀리 날아간다.물론 야구공에도 솔기가 없었다면 박찬호선수가 시속 1백5
0
km가 넘는 강속구를 구사하거나 메이저리그 한시즌 최다홈런기록을 깬 마크 맥과이어 선수는 가공할 만한 홈런을 치지 못했을 것이다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