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美서 첫 사망자 공식 확인한 ‘대변이식술’은 어떤 치료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보고 있다. 문제는 이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고 있어 치료제가 없다는
점
이다. 2012년 2월 호주와 미국 과학자들이 위막성대장염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최초로 발견했다. 토마스 보로디 호주 소화기질환센터 센터장과 알렉산더 코럿 미국 미네소타대 의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건강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복숭아의 학명(Prunus persica)이 될 것이다. 복숭아 과육은 꽤 달콤하기 때문에 맛에 주안
점
을 두고 학명을 짓는다면 아몬드의 학명(Prunus dulcis)이 오히려 안성마춤일 것이다. 필자가 둘의 학명이 바뀌었으면 좋았을 거라고 말한 이유다. 물론 학명은 일단 정해지면 바꿀 수 없다. 맛과 건강 모두 충족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시니호가 마지막으로 보내온 토성 고리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조성 등의 특성에 따라 입자가 좀 더 뭉치거나 길게 늘어서면서 무늬를 형성한다는
점
을 발견했다. 티스카레노 연구원은 “카시니 하위헌스호 미션을 통해 우리는 토성은 물론 태양계 형성와 지구 외 생물체 존재에 대한 비밀을 푸는데 있어 굉장히 많은 것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양자역학을 자세하게 설명할 기회는 나중에 다시 있을 것이다. 여기서 꼭 알아두어야 할
점
은 이렇다. 모든 원자는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질 때 그 에너지 차이만큼 빛을 방출한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는 파장에 정확히 반비례한다. 즉 큰 에너지가 방출되면 파장이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또한 아직은 초기 단계라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인허가나 수가 문제도 해결되면서
점
차 의료로봇이 많이 상용화되리라고 본다. 무엇보다도 환자들이 의사가 직접 손으로 수술하는 것보다 로봇이 수술하는 게 훨씬 안전하고 정확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의료로봇의 미래가 밝다. 지금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
2019.06.08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이와 같은 긍정적 정서 조절을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
이다. 기쁨을 끌어올리기는 커녕 우울한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 기쁜 일이 생겨도 이를 별 것 아닌 일이라며 긍정적인 정서의 길이와 강도를 가라앉히는(dampening)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약 4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논문을 투고해 심사를 받고 있다는 언급이 있다. 물리학계에서 초고체의 존재를
점점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은 분위기에서 고체헬륨이 초고체라는 김 교수의 2004년 발견을 좀 더 명쾌하게 입증할 수 있는 실험이 성공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친환경 ‘생분해성’ 용기의 역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PFOA)과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 등의 환경호르몬을 가지고 있다는
점
이다. 이들은 자연에서 잘 분해되지 않아 식수나 토양에 축적되기 쉽다. 3월 북유럽협의회는 과불화화합물이 일으키는 건강 문제로 인해 유럽에서 매년 500억 유로(약 66조6260억 원)를 지출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미생물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동아사이언스
l
2019.06.01
등 분자들이 많아지면서 이에 대한 면역반응도 일어났다. 염증성장질환이 진행될수록
점점
이런 현상이 증가했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제2형 당뇨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당뇨병에 마이크로바이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소개했다.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일정한 속도로
점
돌연변이가 쌓이는데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특정 구조 변이의 발생 시
점
을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해 이를 검증했다. 연구팀은 흡연과 무관한 폐암에서 융합유전자에 의해 폐암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KAIST 제공 어린 나이에는 흡연을 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