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테
상황
형편
입장
현상
분위기
컨디션
스페셜
"
상태
"(으)로 총 3,182건 검색되었습니다.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연구하는 게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는 얘기를 하려고 했으나 제대로 전달이 안 된
상태
에서 대화가 끊어졌다고 언급했다. 융크는 덴마크어판을 낼 때 이 부분을 추가했고 그 결과 하이젠베르크가 도덕적인 기반에서 독일의 원자폭탄프로젝트를 일부러 지연시킨 것 같은 인상을 줬다. 보어는 책을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견고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관심이 높았지만 그래핀을 손쉽게 접을 수 있는 방법은 없던
상태
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으로 기존에 없었던 고효율 전극이나 트렌지스터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크로스 교수팀은 마치 흑연에서 그래핀을 분리하듯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정신장애는 양육의 결과인가? 아주 극단적으로 병적인 양육 환경, 즉 심각한 기아
상태
나 전쟁과 같은 트라우마, 지속적인 아동 학대 등의 양육환경은 정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양육방법의 개성이나 일시적인 가정불화가 정신장애의 원인이 되는 일은 없다.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수준의 ... ...
‘국민연금’ 경력단절여성(경단녀)도 추후납부제도 활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동안의 연금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경단녀 역시 소득 활동이 중단된
상태
이긴 하지만 국민연금 ‘의무가입자’에 해당되지 않는다. 현 국민연금제도에서는 배우자가 국민연금이나 특수직역연금(공무원·사학·군인·우체국연금)에 가입해 있는 무소득자를 의무가입 대상에서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일으키고 노화를 가속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런데 조류의 경우 대장이 거의 퇴화된
상태
라 장내미생물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류는 오래 산다는 것이다. 메치니코프는 이 발견을 자신의 삶에 적용했다. 즉 미생물의 섭취를 최소화하기 위해 물도 끓여 마셨고 모든 음식은 조리해 먹었다.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
IBS
l
2016.07.05
모든 것이 중요하고 서로 연결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 학장은 한국 대학에서 기초과학의
상태
에 대해 "한국형 질병의 증상은 논문의 숫자에 연연하는 양적인 문제뿐 아니라 언론에서 연구자의 말만 듣고 전혀 비판 없이 싣는 무지함에 있다"며 "과학자들 스스로 무지한 점도 문제"라고 말했다. 또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현상이라고 알고 있던 필자는 고개를 갸웃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오는 플라스마
상태
의 입자의 흐름, 즉 태양풍이 지구 자기권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태양풍 입자 일부가 대기권으로 유입돼 공기 입자와 충돌하며 얻은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보통 오로라는 위도 60~80도인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
2016.06.21
단단해지고 출렁일 일 없이 안정적인
상태
가 된 것 같다. 덕분에 정서적으로도 꽤 평온한
상태
를 유지하고 있는 듯 하다. 개인적인 이야기가 많아졌지만, 자기지각의 내용이 무지하게 긍정적일수록 좋은것만은 아니라는 것, 건강한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현실적인 수준을 기대할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발굴현장을 찾은 모우드 교수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당시 전립선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
의 모우드는 힘겹게 현장을 돌아다니며 세세한 부분까지 지적하며 발굴을 독려했다고 한다. 그에게 호빗의 역사를 무려 70만 년 가까이 끌어올릴 발굴을 지켜볼 기쁨을 안겨주기 위해 고작 1년의 시간조차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발표했다. 호킹 박사는 “이론적으로 블랙홀에 들어가 파괴된 물체가 다시 원래의
상태
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호킹 박사는 4월 4.4광년 거리의 별 ‘알파 센타우리’에 초소형 우주선을 보내는 ‘스타샷 프로젝트’를 발표한 기자회견 자리 등 지금까지 대중강연이나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