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로젝트"(으)로 총 3,7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④] 도시의 삶이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현재 목표로 하는 스마트 시티를 8% 정도 구축한 상태”라고 말했다. 타운쉽 프로젝트가 내건 슬로건은 ‘5-10-15’다. 매일 필요한 것을 5분 이내, 3~4일 이내 필요한 것은 10분 이내, 한달 이내 필요한 것은 15분 이내 걸어서 구할 수 있는 도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인도의 거리를 가득 메우던 ...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③] 치료경험이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7.11.30
- 있다. 자폐 어린이를 오래 연구한 저와 심리 치료사, 로봇공학자가 참여하고 있다. 프로젝트 기간인 2020년까지 카스파르가 자동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목표다. 올해 3월엔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학회에 참여해 예비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사람과 장난감의 위치에 ... ...
- [싱크홀 전쟁] 물에 녹아 가라앉는 자연 싱크홀, 독일 편 수학동아 l2017.11.29
- 하노버) 등 총 11개의 연구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2015년 6월에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2018년 5월까지 독일에서 싱크홀 발생 위험이 큰 지역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후 싱크홀 예측 시스템을 개발해 실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어디가 다른지를 보여준 논문이 실렸다. 독일 괴테대의 연구자들은 ‘1000 기능커넥톰프로젝트’에서 신경영상 이미지 데이터가 충분한 309명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능이 뇌의 네트워크 구조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커넥톰(connectome)은 2005년 미국 ... ...
- [12월 추천 과학체험] (2) 멸종위기 동물들, 우리 같이 #늦기전에 #함께지켜요동아사이언스 l2017.11.22
- 사진을 만날 수 있는 전시예요.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될 포토아크(Photo Ark) 프로젝트는, ‘방주(Ark)’라는 단어의 의미처럼 너무 늦기 전에 멸종 위기의 생물 종을 보호하고자 10여년 전부터 진행해왔다고 해요. 동아사이언스 정기구독자에게만 주어지는 무료입장 혜택으로 생물의 다양성에 ... ...
- 드론,보디캠... 공공안전 지킴이로 명 받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21
- 드론 관제를 이용해 산간 오지나 물난리 등으로 고립된 재해 지역에 생필품을 전달하는 프로젝트를 벌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진 등에 따른 건물 붕괴 현장에서 고립된 생존자를 찾는 데도 드론이 활용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는 붕괴 현장의 인명 손실을 30% 이상 낮추는 긴급 ... ...
- 몬산토, 유전자변형GM 비판에 응답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13
-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을 위해서는 NGO와 기업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야 한다. 위마 프로젝트를 예로 들면 아프리카농업기술재단(AATF) 등의 주체 기관이 먼저 기업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 한 가지. 발전에는 시장이 중요하다. 지역의 농업인들이 양질의 종자를 구할 수 있는 플랫폼이 ... ...
- 자녀 간 경쟁 앞에 부모는 섬세한 연출가가 된다2017.11.12
- 부딪히지 않도록 미리 차단하고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섯 번째로 아프거나 학교 프로젝트와 같이 한 아이가 더 많은 관심을 필요로 할 때가 있음을 설명해 주세요. 누구 하나를 더 편애하기에 함께 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이 아님을 꼭 알려줘야 합니다. 여섯 번째로 아이들 각자에게 혼자만의 ... ...
- 3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자, SAP의 변신 시도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11.11
- 모든 임직원이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업무를 진행해야 자원의 낭비가 적다. ERP 구축 프로젝트가 일반적으로 프로세스혁신(PI)이나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이라는 이름과 함께 진행되는 이유다. SAP와 같은 글로벌 ERP 회사는 ‘베스트 프랙티스’라는 이름으로 선도적인 업무 ... ...
- [과학&기술의 최전선]“3,4년 뒤 100달러로 내 모든 DNA 한눈에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0
- 그마저도 본래 15년을 예상했지만 컴퓨터의 발달로 2년을 줄일 수 있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아직 발병하지 않은 질병에 대한 대비를 가능하게 했다. 이른바 정밀의학이다. 30억 쌍의 염기 배열에서 유전자를 찾아냈고, 정상 유전자와 변이 유전자를 구분할 수 있는 자료를 축적했다. 2013년 미국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