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뉴스
"
끝
"(으)로 총 3,1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30
풍겨왔어요. 바로 불개미의 개미산 냄새였어요! 개미는 위협을 감지하거나 공격할 때 배
끝
부분에서 산성을 띠는 개미산을 내뿜어요. 이 냄새는 개미마다 조금씩 다른데, 불개미의 개미산에서는 유황냄새가 난다고 해요. 원래 개미학자들은 채집해온 개미의 행동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며 과학적으로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하지만 날개를 다친 녀석들은 이전 비행실력을 100% 낼 수 없다. 김 박사는 “깃털
끝
만 상해도 제대로 날 수 없다”며 “6개월 정도 치료와 재활훈련을 마친 뒤 자연으로 돌려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맹금류라도 날개 모양은 제각각이다. 가까이서보니 매는 날개가 짧고 뾰족한 반면 ... ...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
2015.04.26
피식자에서 포식자로, 썩은 사체에서 청소동물로 살아남아 DNA를 전달하기 위해
끝
없는 전쟁을 벌이는 생명체들 사이를 흐르는 삭막한 공간이란 해설이다. 저자는 박쥐 전문가로 세계 유일의 일일 과학 프로그램인 ‘데일리 플래닛’의 진행자이기도 하다. 이 책은 우리를 둘러싼 ‘온화한’ ... ...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04.25
문제다. 에바의 내장배터리는 7년 쓴 아이폰 3G보다 빨리 닳는다. 고작 5분 버티면
끝
. 짧아도 너무 짧다. 배터리가 떨어져서 적에게 당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배터리가 떨어져도 가끔 ‘폭주’해 움직일 때가 있긴 하다). 많이도 말고 내장배터리로 1시간만 움직일 수 있다면 전원 걱정 없이 싸울 수 ... ...
해법 없는 ‘사용후 핵연료’ 처리… 고리원전 2016년부터 포화
동아일보
l
2015.04.24
대지 못했다. 그동안 한국 원자력계는 한미의 파이로프로세싱(건식 재처리) 공동연구만
끝
나면 사용후핵연료 문제가 모두 해결될 것처럼 설명해왔다. 하지만 미국이 1980년대 타당성이 없다고 결론을 내린 파이로프로세싱이 한미 공동연구로 성공할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전문가도 많다. 한국은 ... ...
부모가 정서적 안정감 주면 ‘공부 근력’ 탄탄
동아일보
l
2015.04.23
동아일보] [이제는 ‘공부력’이다]아이에게 주는 스트레스, 공부력 낮춘다 《 공부를 잘하는 학생에게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스트레스 대처능력’이다.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은 ‘공부력’의 핵심 요소다. 진학사 ... ...
자유학년제 고교생, 학원-과외 사교육 1년동안 못 받는다
동아일보
l
2015.04.16
관계자는 “특목고와 자사고 학생들은 이미 특수한 진로를 선택했다고 판단해 고민
끝
에 입학을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시교육청은 지원을 받아 학생과 부모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뽑을 예정이다. 지원자가 많으면 남녀 성비를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 추첨’을 한다. ... ...
“열등감 많던 아이, 책이 바꿨죠”
2015.04.15
내색도 없이
끝
까지 경청했다. 단 한 명도 일찍 자리를 뜨지 않았다. 강의가
끝
나자 아쉬워하는 회원들과 김 교수는 가까운 카페에 모여 시간이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김 교수에게 “시간의 동시성”을 물어봤던 홍경화 씨(초등학교 교사)는 “평소 궁금했던 시간에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준비된 재료들을 곤충호텔의 아래층부터 차곡차곡 채워나갔어요. 20여분 공들인
끝
에 드디어 곤충호텔 완성! 머지 않아 이 호텔에 다양한 곤충들이 찾아와 편히 쉬고 있겠죠? 아까시 나무 열매. - 현수랑 기자 제공 ● 각양각색 세계의 곤충호텔 곤충호텔이 우리나라에만 있는 건 아니에요. 오래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내려오지 않는 증상으로 지역에 따라 남성의 2~9%에서 발견된다. 요도하열은 요도가 음경
끝
이 아니라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현상으로 신생아의 0.2~1%에서 나타난다. 문제는 두 증상 모두 증가추세라는 것이고 여기에 비스페놀A가 관련돼 있다는 것. 논문에는 지난 2012년 ‘환경과학보건지’에 실린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