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넘은 시체에선 다른 곤충을 찾아야 한다. 바로 딱정벌레다. 딱정벌레는 사망 후 2달이
지난
시점에도 여전히 시체에 머물러 있다.우리나라에서 딱정벌레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됐다. 파리보다도 한참 늦다. 시체를 찾아오는 딱정벌레의 종류와 시점을 연구하는 단계다. 신 박사는 기자를 서울 근교의 한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021년부터 거대망원경 ‘GMT(Giant Magellan Telescope)’가 가동을 시작해요.
지난
호 특집 기사를 본 친구들이라면 이 망원경 제작에 우리나라가 참여했다는 걸 잘 알 거예요. 그런데 GMT에 들어갈 ‘반사경’도 우리나라에서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대형 비구면 반사경을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무조건 버릴 필요는 없다. 하지만 식품회사는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모두 회수해 소비자가 살 수 없게 해야 한다. 품질을 보장하면서 이익이 최대한 많이 남게 하려면 식품회사는 제품의 유통기한을 정확하게 설정해야 한다.식품회사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면 실험으로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어떤 다리가 오른쪽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중의적인 그림 알아채는 데 약 0.34초
지난
2012년 3월 독일의 정신건강의학프론티어영역기관의 위르겐 코른마이어와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의과대학 안과전문의인 미하엘 바흐 박사 공동연구팀은 중의적인 그림을 볼 때 사람의 뇌가 어떻게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또 슈퍼전파자가 나올 수도 있다. 6월 말이나 돼야 모든 병원의 최대 잠복기가
지난
다. 그 때까지 또 다른 확진자 소식이 없기를 기원한다. 최신 메르스 소식(과학동아 데일리) www.dongaScience.com/special/mers▼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진이 93회나 발생했다. 지진 관측 사상 최다 기록으로 예년의 2배 수준이었다. 지진은
지난
해 49차례로 다시 줄었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은 가시질 않고 있다. 대지진의 여파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분석 때문이다.1.고개방향 따라 달라지는 소리우리는 귓바퀴가 있어서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만들었다. 그야말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공학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 ...
퀴즈대회 방해꾼 ‘다반지 바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우리 결혼하는 건가요?”그 속에서 갑자기 웬 여자가 튀어나왔다. 사실 다반지 바쓰는
지난
번에 만났던 문방구 주인 사라 샤프라도였다.“옴마야, 썰렁홈즈 살려~~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프랑스원자력연구기관 (CEA) 로랑 볼랭저 연구원팀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지난
3월 네팔에서 현장조사한 결과를 이 용해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곳과 정확히 일치하는 곳 에서 지진이 발생할 것임을 예견했다.연구팀은 네팔에서 동서로 1000km에 걸쳐 있는 네 팔 주요 지진 단층을 따라 구멍을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한국 역사에서 민족의 성지입니다. 그런데 10세기 경에 있었던 백두산 화산 분출이
지난
1만 년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규모였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환태평양 화산대에서 멀리 떨어진 화산이 어떻게 그렇게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가는 아직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미제로 남아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