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관련이 높은 신경교세포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타우린의 이런 효능을 이용하면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 이처럼 효능이 많은 타우린은 사실 체내에서 대부분 합성된다. 그래서 필수 섭취 영양소가 아니다. 오징어, 낙지, 문어 등 연체동물과 굴, 조개 등 조개류에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관들이 거의 모두 몸통에 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로봇은 음식을 먹지도 않고 산소를 이용해 호흡하지도 않기 때문에 인간에게 필요한 많은 기관들이 필요 없습니다. 그래서 몸통에는 여유 공간이 많이 생깁니다. 이 공간에 로봇에 필요한 많은 장비들을 넣어야 합니다. 로봇은 주로 컴퓨터 같은 ... ...
- [수학뉴스] 2월의 수학자 - 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고민하다가 1594년 로그 개념을 떠올리고 로그표를 작성하기 시작합니다. 로그표를 이용하면 곱셈을 덧셈으로, 나눗셈을 뺄셈으로 바꿀 수 있어 큰 수를 다루는 천문학자들에겐 더없이 소중한 도구였습니다. 프랑스 수학자 겸 천문학자인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로그가 천문학자들의 수명을 2배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g-추측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밝혀졌습니다. 20세기 초반 수학자들은 3차원에서는 속이 꽉 찬 다면체에서 겉면만 이용하면 모든 가능한 단체 구와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하지만 4차원에서는 그런 식으로는 만들 수 없는 단체 구가 있었습니다. 즉 g-추측의 특수한 경우는 이미 해결했지만, 일반적인 단체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몸 쓰는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온 학생은 영화 내용과 접목해 수학 개념을 설명했고, 그림을 잘 그리는 학생은 만화를 이용해 신문을 꾸몄다. “학생들 주체적으로 자료를 조사하고, 각자 잘하는 방법으로 신문을 꾸미게 하자, 수학에 대한 흥미는 물론 자신감이 생겼다는 학생이 많아졌어요.” 최정우 군은 “수학 신문 만들기는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작동할 때 전전두엽과 NAc가 얼마나 활성화되는 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등의 장비를 이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청소년(13~17세)의 뇌에서는 가치를 판단하는 전전두엽보다 쾌락을 느끼는 NAc가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23~29세)보다 오히려 어린이(7~11세)의 뇌 반응과 더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월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개발 중인 초대형 재사용 로켓 ‘빅 팰컨헤비 로켓(BFR)’을 이용해 2023년 일본인 마에자와유사쿠 조조타운 설립자를 달에 보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길이 118m, 폭 9m인 BFR은 1단 로켓 위에 우주왕복선(BFS)을 연결한 형태로 5400t급의 추진력을 낸다. 스페이스X는 최근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Cassegrain System)을 예로 들었다. 카세그레인 시스템은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의 원리를 이용해 빛(에너지)을 한 곳에 모으는 시스템이다. 그는 이 시스템이 달에서 4가지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첫째는 달의 토양을 소결시킨다.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달 토양 입자에 강한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스타트업과 함께 일하고 있으면서도, 우주라는 무한한 가능성이 얼마나 많은 곳에서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앞으로 어떤 사람들과 어떤 곳에서 우주를 함께 할 수 있을까.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 친구이자 선배, 니콜에게 이 기회를 통해 고마움을 전한다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때도, 문제를 풀 때도 책을 이용했다. 그는 “오답 노트를 따로 만드는 것보다는 책을 이용하는 편이 바로 정리할 수 있어서 편했다”고 말했다. 특히 김 군은 틀린 문제를 대하는 자세가 남달랐다. 틀린 문제를 다시 풀 때면 온 신경을 집중했다. 틀린 문제는 그 자리에서 바로 오답과 정답을 표기한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